탄소제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업사이클링'
2022-09-29 20:18

원본 이미지 보기
‘업사이클링(Upcycling)’이란 '개선하다'라는 의미의 '업그레이드(Upgrade)'와 '재활용'이란 의미의 '리사이클링(Recycling)'이 결합된 단어이다. 재활용품에 디자인 또는 활용도를 더해 그 가치를 높인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제품을 만들면서 생기는 탄소와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업사이클링은 일반적인 재활용과는 다르게 자원을 지속적으로 선순환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더불어 물질적 풍요도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한국에서는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은 개념인 업사이클링이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 이유는 바로 개성과 희소성에 있다. 업사이클링은 재활용한 자원을 통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완전히 똑같은 제품이 아닌 저마다 다른 모양이나 디자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나만의 가방이나 신발, 옷 등이 만들어지는 것이고, 이 점은 자신만의 개성표현을 중요시하는 MZ세대들에게 적중했다. 업사이클링은 단순히 의류에 그치지 않고, 현수막이나, 인테리어 아이템 등 각 분야로 퍼지는 중이다. 업사이클링은 단순히 구매를 통해서가 아닌 우리도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다. 예로 들면 안 입는 옷을 이용해서 모자나, 목도리 등으로 리폼하는 것 또한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업사이클링이라고 할 수 있다.

자원의 고갈 및 과도한 자원 낭비로 심각한 환경위기에 직면한 현대사회에서 자원의 재활용은 인간에게 있어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 과도한 자원 사용에 따른 환경문제가 심각해져 가고,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와 자원 재활용에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지금, 환경문제 해결과 상품성, 이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는 나만의 업사이클링 제품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누군가에게 쓰레기, 누군가에게는 필요한 제품으로 재활용될 수 있는 업사이클링, 자원순환 실천에 오늘 나부터 도전하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첫출발이 되기를 바래본다.

No 제목 이름 날짜
3305 한라야생화 온라인전시회에 초대합니다.  ×2 김평일 12-25
3304 제주원광재가노인복지센터 어르신 활동작품 전시회 “원광愛 작은 행복이…  ×2 제주원광재가노인복지센터 12-23
3303 한국전기공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회 천사의집에 성금기탁  ×1 천사의집 12-19
3302 디지털시대에 적응하는 우리 멋져요  ×1 강건혁 12-18
3301 심폐소생술! 의무교육으로  ×1 비밀글 성산 12-17
3300 겨울철 도로 위, 이것 조심하자! 도로 위의 암살자 '블랙아이스' 피할 수 …  ×1 제주대학교학생 김동건 12-17
3299 배달료, 수수료 걱정없이 맛있게!  ×1 [2]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예린 12-17
3298 모두를 위한 키오스크, 가능할까? 키오스크 노인 접근성 개선돼야… 정지우 12-16
3297 [기고]다시 뛰는 장년층, 희망의 디딤돌  ×1 ×1 [2] 백은숙 12-14
3296 제주영락종합사회복지관, 제주신협과 함께하는 "따뜻한 김장나눔"   ×1 제주영락종합사회복지관 12-13
3295 오·폐수의 무단 방류로 인한 바다 생태계 파괴를 막기 위한 우리의 자세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지훈 12-12
3294 [기고] 119안심콜 서비스 선택이 아닌 필수  ×1 ×1 [1] 강기수(남원119센터 소방사) 12-12
3293 남원119센터, 겨울철 소방안전대책 화재예방 홍보 실시  ×1 남원119센터 예방담당 오성룡 12-11
3292 나부터 시작하는 에너지 다이어트  ×1 [1] 한전 제주본부 요금관리부 요금팀장 윤 12-09
3291 새들의 합창이 그리운  ×1 오조 12-08
3290 제주영락종합사회복지관, 제주신용협동조합과 “온(溫)세상 나눔 캠페인”…  ×1 제주영락종합사회복지관 12-08
3289 한라산지킴이 클린활동 봉사 [1] 박세권 12-08
3288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타세요  ×1 강원석 12-06
3287 기고문  ×1 김현진 12-06
3286 제주의 바다, 반드시 지켜내야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현진 12-05
3285 하논분화구 보존복원  ×1 하논분화구 12-02
3284 세상을 바꾸는 움직임, 그린 컨슈머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길수민 12-01
3283 겨울철 담배꽁초로 인한 화재예방 대책 마련 시급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서행환 11-30
3282 기고  ×1 비밀글 고기봉 11-29
3281 기후변화에 대응할 때  ×1 곽현우 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