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품들이 주인공이 된 “재활용 포럼”을 개최한다면!!!
2021-03-16 11:42
|
|||
---|---|---|---|
도 생활환경과 자원순환관리팀장 정근식 (Homepage : http://)
|
|||
이날 포럼 의장인 플라스틱은 기조연설을 통해 인간들이 행동변화를 촉구하였다. 그는 1909년에 미국에서 자신이 태어난 이후 110여년이 넘는 시간동안 인간들이 삶에 커다란 공헌을 하고 생활에 일부분이 되었다. 하지만 인간들에 의하여 버려지는 자신들이 자연으로 다시 돌아가기 위해서는 최소 500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우리가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기 위한 몸부림으로 만들어지는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하여 우리는 지구의 여신인 가이아, 숲과 물의 정령들 뿐 만 아니라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들을 공격한다는 비난까지 받게 되었다고 말했다. 플라스틱 포럼 의장은 인간이 잘못으로 인하여 만들어지는 플라스틱 쓰레기 섬, 미세 플라스틱 문제는 인간들에 의하여 발생한 것이고, 인간이 노력으로 충분히 제어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오염이 주범으로 떠오르는 현재의 상황에 대하여 강하게 비판하였다. 그는 “버려지는 자신들이 재활용된다면 다시 훌륭한 제품으로 재탄생하여 인간의 삶을 더욱더 풍성하게 할 수 있다”고 강조하여 참석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이어서 폐고철류의 사회로 우유팩, 투명 플라스틱, 비닐, 폐병류, 알루미늄이 토론자로 참석한 패널토론이 2부 행사로 개최되었다. 토론자로 나선 우유팩은 자신들이 버려질 때 일정한 장소에 모아만 두어도 훌륭한 화장지로 재탄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버린다고 주장하면서 인간들이 행동 변화를 촉구하였다. 투명 플라스틱은 최근 자신들을 분리 배출하여 옷과 가방으로 새롭게 탄생하는 사례를 소개하면서 인간들이 노력을 치하하였다. 자신들에게 붙어 있는 라벨을 제거하고 내용물이 남겨지지 않게 깨끗하게 정해진 장소에 버려진다면 투명 페트병은 더 이상 쓰레기라는 오명을 듣지 않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폐병류는 소주병과 맥주병을 편의점등에 갖고 가면 100원 또는 150원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색깔이 있는 병들과 혼합되어 버려지고 이 과정에서 깨어져서 일반 잡 유리로 쓰여지는 현실을 고발하였다. 계속해서 폐비닐류, 폐알루미늄은 곳곳에 재활용품 분리 배출함이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태어날 수 있는 자신들을 분리하지 않고 마구 뒤섞여 버리는 인간들을 비난하였다. 플라스틱 포럼의장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인간을 위해 탄생한 수 많은 제품들은 언젠가는 버려지게 된다. 그러나 사람들이 조그마한 관심으로 다시 생명을 이어갈 수 있다. 재활용되지 못하고 혼합하여 버려져는 플라스틱은 인간들만 아니라 자연의 모든 생명들을 위협하고 있다고 하면서 인간들이 각성을 촉구하였다. 이날 엄마의 손을 잡고 재활용도움센터를 찾은 한 어린이는 우리의 잘못된 행동으로 생명을 잃고 자연과 인간을 아프게 하고 있는 재활용품에 미안하다고 하면서 철저하고 깨끗하게 분리 배출할 것을 약속했다. 텀블러 기자 Tumbler@recycle.co.kr. |
|
ICCJeju 다목적 복합시설 사업비 '눈덩이'
제주종합경기장 주차장 11월부터 유료화… 최초 1시간 무료
제주 도심 사라봉 토끼 "놔둘까" vs "잡을까"
'공공·공익성 논란' 화순항 고등어선단 사업 급물살 타나
제주출신 골퍼 임성재 아시안게임 단체·개인 금·은 획득
추석 연휴 더 풍성해진 '청춘마이크 제주'
[주말엔 서귀포] 칠십리야외공연장서 보름달 같은 '월색예술…
"맛, 무게 이래야 상품"… 온주밀감·만감류 기준 개선
감독까지 바꾼 제주 "더 이상 물러날 곳 없다"
'아쉬움 뒤로 하고' 이른 귀경길… 나들이·관광객 가을 만끽
[포커스] 다문화학생 급증하는데… 사각지대 못 …
긴 연휴 제주 북적북적… "아쉽지만 일상으로"
서귀포시 저소득층 자활근로사업 집중 확인 조…
올 추석 밥상머리 화두는 이것!… "민심 헤아려…
제주 곳곳서 '쾅쾅쾅'… 추석 연휴 사건·사고 잇…
"노인 인구 11.2%가 치매"… 제주 유병률 전국 상…
"제주 최고의 한우·흑우를 찾아라"
제주경찰 "경찰자치위, 현장출동 경찰관 복지 홀…
"나아질 기미 안 보여…" 제주소비자심리 두 달…
부영그룹 하자보수 시스템 입주민 반응 '긍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