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들의 무관심 속에 사라져가는 제주 용천수
2020-12-03 18:18
이창석 (Homepage :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이창석

무분별한 개발로 오염ㆍ훼손되는 제주 수자원 공급의 중심 용천수
개인하수처리시설이 용천수 오염의 주요인


대수층을 따라 흐르는 지하수가 암석이나 지층의 틈을 통해 지표면으로 자연스럽게 솟아나는 지점을 용천이라 하고, 이 물을 용천수라고 부른다. 제주는 옛날부터 물 공급을 용천수에 크게 의존해왔다. 상수도가 없던 시절 제주도민에게 용천수는 단순히 식수로서뿐만 아니라 목욕이나 빨래 등 생활과 밀접하게 사용되었고, 자연스럽게 용천수를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99년 조사 당시 제주 용천수가 1025곳으로 조사됐으나, 2013~2014년 조사에서는 661곳만이 확인되었다. 매립되거나 멸실된 용천수가 270곳이고, 확인할 수 없는 용천수가 94곳이었다. 조사된 용천수 661곳 중에서도 보존 상태가 양호하지 않고, 수량이 부족해서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곳도 있었다. 용천수 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611곳 중 199개소는 이용되고 있으나 나머지 70%(462곳)는 이용되지 않는 상태였다.


개인당 물 사용량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한 생활하수 발생량 증가,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 오염물질의 유입 통로가 되는 허술한 지하수공, 정화시설을 갖추지 않은 불법 축산폐수배출, 비료와 농약의 과다한 사용이 제주 용천수의 보전ㆍ관리의 위협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도청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제주도 내 잠재오염원 15,138곳 중 개인하수처리시설이 10,058곳으로 잠재오염원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지정폐기물 배출시설 1,456곳, 가축 분뇨 배출시설 1,279곳으로 심각한 잠재오염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용천수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ㆍ제도적 관리방안이 미흡한 실태이다. 예로부터 제주도민들의 생명수였던 용천수를 보호하기 위해, 용천수가 솟아나는 장소에는 반드시 돌담을 쌓아 올려서 가축의 출입을 막거나 또는 주변부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철저히 보호하였다. 하지만 1953년 상수도의 보급이 진행되고 용천수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이 줄어들고 관리가 소홀해졌다. 특히 마을에서 용천수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인공 시설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원형을 훼손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환경문제가 세계적으로 심각한 현대사회에서 깨끗한 수질의 제주 용천수는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열쇠이다. 도민들의 애정 어린 관심으로 제주의 소중한 자산 용천수를 되살려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행정에서의 제주의 수자원 용천수의 전문적인 보호ㆍ이용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고, 더 이상 지체되어서는 안 된다.

No 제목 이름 날짜
2908 [기고]안전한 교통 환경을 위해 불법 주·정차 이제 그만!  ×1 양지온 05-11
2907 (기고)‘길잃음 사고’ 예방, 우리모두 안전히 집으로  ×1 ×1 비밀글 노형119센터 05-11
2906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블랙야크와 함께하는 '야크 …  ×1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05-07
2905 제주시 공원녹지과 노인맞춤돌봄서비스 가드닝 지원 사원 시범 사업 업무…  ×2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05-06
2904 서부종합사회복지관, 애월 꿈 성장 배움터 개강식 진행  ×2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5-06
2903 서부종합사회복지관, 이팔청춘실버학당 개강식 진행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5-06
2902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로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자!  ×1 ×1 영어교육도시119센터 김보형 05-06
2901 제주도 대중교통체제의 보완점 제시  ×1 고현정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5-05
2900 제주 환상자전거길 제대로 활용이 되는가?  ×1 강지원(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5-05
2899 신산공원으로 알아보는 도시 내 생태공원의 필요성  ×1 백지원(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5-05
2898 (기고) '신선이 머무는 곳' 방선문  ×1 오라동 05-04
2897 엄마, 아빠가 바쁠 땐? 천원의 행복으로 해결 하세요!  ×1 오정애 05-01
2896 (기고) 나무를 베면 알 수가 없죠  ×1 한성찬 04-30
2895 월남참전 기념탑 명각을 새롭게 추진하며  ×1 월남참전기념탑명각추진위원회 04-30
2894 봄철 산악사고 예방의 길  ×1 노형119센터 소방사 오혁진 04-29
2893 제주출입국외국인청이민자네트워크 봉사단과 ‘찾아가는 4월 생신잔치’ …  ×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4-29
2892 ‘아람’콩 등 식량작물 육성 보급 품종 설명회  ×1 농업기술원 04-28
2891 시원이 마법사 임규택 04-25
2890 (기고) 불편해도 '용기네세요!'  ×1 ×1 현경자 04-20
2889 대한민국 해병대 ROTC 동우회, 해안쓰레기 수거활동 전개  ×2 임철종 04-19
2888 시온빌자립생활관 자립지원교육 노무교육 진행  ×1 좌경은 04-19
2887 내 탓도 네 탓  ×1 ×1 강경림 04-19
2886 불법 주정차 여기는 절대 안돼요.  ×1 고기봉 04-17
2885 청소년들의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진로체험 프로젝트 드림아카데미 꿈마…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4-14
2884 정혜재활원, 서귀포시 장애인태권도 협회 주관 장애인태권도 동호인 클럽 …  ×2 정혜재활원 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