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2019-11-29 19:20
오병철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제주도민의 생명수를 지키자!

우리의 생활 속에 물은 흘러넘치고 있다. 단순히 식수와 생활용수뿐만 아니라 즐거움과 예술의 자원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와 동시에 손쉽게 얻을 수 있고 너무 흔하기 때문에 그 소중함은 쉽게 잊히고 있다. 그러나 물이 언제까지나 풍요롭기만 할까?

사실 제주도의 연평균 강수량은 2000mm로 전국 최고의 다우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제주도의 지질 특성상 연간 강우량의 약 40%가 땅속으로 스며든다. 그렇기 때문에 제주는 상수도는 물론 농업용수 까지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고, 제주 전역에 이 지하수를 끌어올리기 위한 취수원이 있다. 문제는 이 취수원들에서 나오는 지하수 양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2017년 8월 서부 중산간 지역에서는 35일간 격일 제한 급수가 실시되어 한 여름에 주민들이 많은 고생을 하였고, 소방차로 긴급 급수를 하기도 하였다. 한 달이 넘게 단수를 경험하며 우리는 물 부족 문제가 결코 남의 일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현재도 제주지역 곳곳에서는 지하수 수위가 낮아지고 있고, 빗물이 지하수로 스며드는 양도 줄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무엇 때문에 물이 부족하게 된 것일까? 우선 그 원인은 인구증가에 따라 전체적인 물 사용량이 증가했기 때문일 것이다. 1인당 사용하는 물의 양이 늘어나는 상황 속에 제주도의 인구와 관광객 수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물 사용량도 많아진 것이다.

다음으로 대규모 개발로 인한 곶자왈을 밀어내며 건설된 골프장, 호텔, 리조트 등은 물 부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 위 시설들은 엄청난 물을 사용하고, 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투수성이 좋은 곶자왈이 시멘트로 덮이게 되면서 빗물이 지하수로 스며들지 못하고 유실되는 양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들 스스로가 물의 소중함을 알고 아껴 쓰려 노력해야 한다. 제주도 차원에서도 지하수자원 보전과 개발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지속적인 수질관리 및 효율적인 저장과 활용과 같은 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변화하는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물 부족에 대한 대비책이 없다면 미래에 큰 고통을 받을 것이다. 우리에게는 미래세대에게 좋은 환경을 물려줄 책임이 있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오병철

No 제목 이름 날짜
2623 [기고] 이호동 김건_안전사각지대 최소화를 위한 작은 손길  ×1 이호동 김건 03-13
2622 코로나19의 위기... 상생으로 극복하자!  ×1 농협 구례교육원 이은영교수 03-12
2621 불법소각에 대처하는 의용소방대장의 당부   ×1 ×1 남원남성의용소방대장 홍창보 03-11
2620 기고  ×1 ×1 비밀글 홍정민 03-10
2619 제주산림,IT 기술로 지킨다  ×1 고호영 03-06
2618 지키기 쉬운 5가지 '코로나19' 대응법  ×1 강인규 03-06
2617 코로나19 극복위한 안전문화 실천  ×1 ×1 위미여성의용소방대 대장 강미숙 03-06
2616 코로나- 생활 속 방역  ×1 안성희 03-05
2615 코로나19   ×1 ×1 김민호 03-05
2614 [기고]코로나19 장기화, 취약계층 어린이에게 각별한 관심을….  ×1 ×1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 03-03
2613 '코로나19' 예방수칙 준수로 다 함께 이겨내자!  ×1 고기봉 03-01
2612 기고) 신학기 학교폭력 예방, 지속적인 사랑과 관심이 모아질 때  ×1 김문석 02-28
2611 한시 발표회 김세웅 02-24
2610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21
2609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주거복지실현사업 봄의시작 어르신 2월“생신잔치…  ×2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2-21
2608 민속자연사박물관 소장품의 이관을 반대한다  ×1 김순택 02-21
2607 기고  ×1 고기봉 02-20
2606 원도심에 부는 새로운 바람, 소통  ×1 이도1동 주민센터 고 미 령 02-18
2605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14
2604 바이러스 전성시대  ×1 허성환 02-13
2603 제주의 공공디자인 정립 왜 필요한가?   ×1 ×1 고경란 02-12
2602 2020학년도 제29기 법사학인 교육 신입생 모집  ×1 김춘삼 02-10
2601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07
2600 한림여성농업인센터 상반기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1 한림여성농업인센터 02-06
2599 진정한 교복 자율화  ×1 ×1 허성환 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