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연실의 목요담론] 지역소멸 위기, 지·산·학·연 협력에서 답을 찾자

[강연실의 목요담론] 지역소멸 위기, 지·산·학·연 협력에서 답을 찾자
  • 입력 : 2024. 01.25(목) 00:00
  • 송문혁 기자 smhg1218@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뵤] 저출산·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제주는 지역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해당 문제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합계출산율이 2014년(1.48명) 이후 지속해서 감소하며 2021년 처음으로 1명이 깨졌다는 소식은 지역사회에 상당히 큰 충격을 주었다.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비단 인구문제에 국한하지 않고 지역경제의 기초 체력, 즉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킬 우려가 크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신규 인력이라 할 수 있는 청년층을 포함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면, 지역 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동력이 줄고, 이는 소비시장 위축 및 기업 투자 유인 축소로 이어지는 등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지역 내 노동력 감소는 기업의 지역 이탈을 초래할 수 있고, 지역 성장과 산업 발전을 제약함으로써 지역소멸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어 지역 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간 정부 및 지자체는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개선하고자 막대한 예산 투입을 통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여전히 인구는 감소하고 지역소멸 위기는 확대되고 있어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지자체 주도의 대대적인 정책 손질 및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절실한 시점이다.

특히 4차산업혁명 이후 사람·자원·기술 간 연계로 시너지를 창출하는 초연결 네트워크 시대가 도래하면서 지역소멸 방지를 위한 돌파구로서, 지·산·학·연 상생과 협력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확대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실리콘밸리나 독일의 드레스덴 등의 사례는 산·학·연의 유기적인 연계와 협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제주 역시 산학협력을 키워드로 '제주특별자치도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조례' 등 관련 제도 마련 및 인프라를 구축하고, 각종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책 및 사업이 다양한 부서 및 기관에서 추진되면서 산·학·연 간 연계를 통한 시너지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최근 기존의 산·학·연 협력에 지자체의 역할과 책임을 부여하여 성과를 창출·확산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지·산·학·연 정책을 수립·추진해 나가고 있다. 지·산·학·연 협력은 각 주체가 가지고 있는 역량에 기반하여 강점을 극대화하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할 수 있는 기반이라는 점에서 지역 현안 해결과 새로운 기회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속담처럼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나 사업들이 있고, 이것들을 어떻게 손질하여 활용하고 추진하는가에 따라 성과는 확연하게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지·산·학·연 협력을 추진해 남감에 있어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은 지역혁신 주체의 구성원이 일관성을 갖고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지·산·학·연 구성원 모두가 중장기적 관점에서 제주의 미래를 내다보고 자생적인 지역혁신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강연실 제주연구원 부연구위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752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