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원 수만 계속 늘리면 되나?"..선거구 획정 설명회

"도의원 수만 계속 늘리면 되나?"..선거구 획정 설명회
"특별법 개정 권고안 제출 연내 개정 문제 없을 듯"
"산남·북 균형발전 서귀포 10개 선거구 유지 필요"
  • 입력 : 2021. 11.08(월) 16:18
  • 백금탁·강다혜기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8일 아라동주민센터에서 열린 선거구획정위의 '2022년 제8회 지방선거 선거구 획정에 따른 찾아가는 주민설명회' 모습.

제주특별자치도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이하 선거구획정위)가 8일 제주시 아라동주민센터와 서귀포시 1청사에서 '2022년 제8회 지방선거 선거구 획정에 따른 찾아가는 주민설명회'를 차례로 개최했다.

선거구획정위는 설명회에서 지난 10월 주민을 대상으로 한 미래발전전략연구원의 설문조사 결과 발표와 함께 선거구 통·폐합 여부 등에 따른 주민 의견을 수렴한 가운데 해당 지역 주민들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날 선거구획정위가 내놓은 주민설명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아라동 선거구의 분구 획정안에 대한 주민 의견을 물은 결과, 찬성(87.3%)이 반대(12.7%)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한 정방동·중앙동·천지동 지역구는 현행 10개 선거구 유지시 서홍동과 통합하는 방안(찬성 82.7%)과 선거구 1개 축소시 동홍동과 통합하는 방안(66.2%)이 각각 우세했다.

고홍철 위원장은 아라동 주민설명회에서 "아라동은 인구가 급격히 늘어난 지역이기 때문에 분구가 불가피하다"며 "분구안 대로 제주특별법 개정 권고안을 제출했고, 이것이 연내에 개정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다만 일부 주민들은 도의원 수를 늘리는 데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제기했다. 한 주민은 "매번 지방선거 때마다 계속 의원 수만 늘리는 것은 세금이라든지 여러 차원에서 상당히 문제점이 있다"며 "현재도 의원 수가 많다는 여론이 있는데, 의원 수만 늘리고 있다는 점에서 선거구획정위의 역할이 제대로 적용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고 위원장은 "무작정 선거구를 늘리고 주민들의 세금을 부담시키려는 건 아니다"라며 "도의원 정수는 전국 평균 수준보다 낮은 편이고, 주민 입장에서 대표성·대의성 측면에서 보면 도의원 수가 늘어날수록 주민의 권리가 커지는 것"이라고 답했다.

8일 서귀포시 1청사에서 열린 선거구획정위의 '2022년 제8회 지방선거 선거구 획정에 따른 찾아가는 주민설명회'에서 오명필씨가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서귀포시민을 대상으로 한 주민설명회에서는 제주도의 균형발전을 위해 현행 10개 선거구 유지에 대한 목소리가 높았다. 선거구 획정 때마다 불거지는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의견도 제시됐다.

오명필(중앙동)씨는 "산남·산북의 균형발전을 위해 현행 10개 선거구 유지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인구 수에 밀려 서귀포시가 상대적으로 제주시에 비해 소외감을 느끼고, 지역 정서마저도 무시되는 행정이 아쉽다"고 토로했다. 이에 특별법 개정에 최선을 다할 것을 선거구획정위에 당부했다.

한편 선거구획정위는 지난 8월 도의원 정수를 지금보다 3명(지역구 2·비례대표 1) 증원하는 권고안을 제주도에 제출했고, 송재호 국회의원이 이를 반영한 제주특별법 개정안에 대한 의원 입법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분구 또는 통·폐합 대상으로 거론되는 선거구는 ▷아라동 ▷애월읍 ▷한경·추자면 ▷정방동·중앙동·천지동 등 4곳이다. 이에 선거구획정위는 9일 오후 2시 애월읍사무소, 오후 4시 한경면사무소에서 주민설명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1243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