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의 품격   ( 2020-10-21 12:36 )
  NAME : 허성환   |   HOME : http://
1603251400.hwp ( size : 15.50 KB / download : 4 )
원본 이미지 보기
말의 품격 말에는 품격이 있다. 말은 곧 그 사람의 얼굴이자 인품이다. 우리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단어, 속도, 높낮이 등을 통해서 그 사람의 직업이나 성격을 파악하기도 한다. 인간관계에서도 명령투의 말은 관계를 멀어지고 하고, 배려의 말투는 사람들에게 따뜻하고 인정받는 느낌을 갖게 한다고 한다. 철학자 한나 아렌트는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통해서 나치에 의한 유대인 학살은 광신도나 반사회적 성격 장애자가 아닌, 상부의 명령에 순응한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에 의해 자행되었다는 ‘악의 평범성’이란 정치철학을 피력했다. 이때 한나 아렌트는 아이히만이 저지른 일은 평소 생각하기 즉 사고의 결여 때문이고 그의 사고가 결여된 것은 그가 다루는 언어 습관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일본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해변의 카프카’에서 아이히만의 사례를 들며 기계적으로 행하던 일이 타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상상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끔찍한 짓을 저지를 수 있었던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나 아렌트는 ‘악의 평범성’이 ‘사고의 무능성’에서 비롯되었다고 해석했다. 그리고 아이히만이 법정에서 한 거짓말은 단순히 책임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현실감각을 없앤 사고와 언어의 무능’에서 온 상투어로 보았다. 아이히만의 사건을 돌아보며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하는 말들이, 선택하는 단어들이, 언어가 얼마나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는지 소름이 끼칠 정도다. 아렌트의 기록에 의하면 그는 마지막 순간에도 죄를 전혀 후회하지 않았다고 한다. 평생 사고가 결여된 말투를 사용했으니 그는 자신이 무슨 잘못을 저질렀는지 조차 모를 수 있다. 밀레니엄 세대의 탄생 이후 우리의 언어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세대 간 소통의 불가능할 정도의 변형된 말들이 난무한다. 한글날만 되면 우리 말을 아껴야 하고 우리 글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고 난리다. 하지만 새롭게 만들어지는 신생어는 해가 갈수록 늘어나고 전세계와 소통하는 Z 세대에게 한글 사랑은 잔소리에 불과하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한글에 대한 무조건적 사랑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세대를 초월해 언어에 대한 품격과 품위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다. 정치권에서 근거를 알 수가 없는 말들이 이어진다. 일단 뱉고 본다. 상스러운 말들과 고성이 이어진다. 체면 따위는 아랑곳없다. 그래 놓고 사과도 없다. 사회는 출처를 알 수 없는 루머들이 매일 쏟아진다. 진실 따위는 이미 관심이 없다. 내로남불식이다. 조금 더 자극적이기만 하면 된다. 최근 우리 사회가 쏟아내는 언어를 듣고 있으면 피로감이 쏟아진다. 그 어디에도 품위가 없다. 체면도 없다. 따뜻한 말 한마디가 그리운 계절이다. 굳이 한나 아렌트의 철학이 아니더라도 말의 품격이 대해서, 말이 만들어 가는 자신의 존재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허성환(농협 구미교육원 교수. 010-2805-2874)
  SIT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