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사슴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어 '백록담'의 '백'도 바로 여기에서 기원한다. '백록담'을 고대인들은 이같이 '바쿠(faku)'로 불렀음을 추정할 수 있다. 어떤 고유명사가 아니라 그냥 '호수'를 지칭하기 위해 이렇게 불렀다고 할 수 …
[한라일보] 박달이라는 말은 한자로 백산(白山)이라고도 썼다. 여기서 '백'은 호수라는 뜻이라는 건 지난 회에 상세히 설명한 바대로다. 여기서 '달'은 고구려어로 산(山)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산을 고구려어로 달이라 했다는 …
백(白)은 박(泊)과 같은 말박과 포는 모두 만주어로크고 역동적인 호수‘박’과 ‘포’는 호수라는뜻으로 만주에서 널리 쓰여 중국의 자료들을 보니 백두산 천지를 달문(門), 달문(達文), 도문(圖們), 타문(他們), 도문(圖文), 타…
[한라일보] 한라산의 별칭 두무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백두산을 더듬어 보고 있다. 그런데 그런 중에 백두산 천지의 명칭에서 두무와 관련이 있을 것 같은 단서들이 나오고 있다. 여기서 잠깐! 백록담을 연상하면서 궁금해하실 …
백두산이 무슨 뜻일까? [한라일보] 백두산이란 말은 '머리가 흰 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게 그리 간단치가 않다. 백두산이란 지명은 알고 보면 머리가 하얗다는 뜻과…
두무는 '둥글다'라는 뜻일까? 여기서 또 한 가지 더 생각해 볼 문제가 있다. 한라산과 두무악이라는 이 두 이름을 별개로 썼다고도 할 수 있지만, 조합으로 썼다고도 추정할 여지가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왜 이렇게 16세기 초…
'솥처럼 생긴 산'이라는 주장 [한라일보] 1519년 김정 선생께서 쓰신 제주풍토록에 우리의 언어습관과는 동떨어지게 두무악이라 했다는 점은 무얼 의미하는 것일까? 20세기 초까지도 일관되게 이렇게 써 왔는데도 이런 조어 형태…
20세기 초까지 살아남았던 ‘두무악’ 18세기의 학자 이규경이 쓴 백과사전 ‘오주연문장전산고’라는 책에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 "한라산은 제주 남쪽 20리에 있다. 주의 진산으로 운한을 잡아당길 수 있다 하여 한라산이라 …
[한라일보] '한라라고 하는 것은 운한을 잡아당길 만큼 높다는 뜻으로 붙은 이름이다.' 여기서 말하는 운한이란 은하수를 지칭한다. 이런 내용은 ‘동국여지승람’에 최초로 기록한 이래 지금까지 어느 누구도 의심의 여지 없이…
동국세기, 한라산은 영주산 기록 옛사람들이 삼신산이 모두 우리나라에 있다고 해왔을 뿐만 아니라, 금강산, 지리산, 한라산이 곧 그것이라고 지목해 온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동국세기'라는 책에는 금강산은 봉래산, 지리산…
장생불사 강조한 도교사상 유행 영주산이 무슨 뜻일까. 간혹 한라산을 영주산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내용의 핵심은 한라산은 예로부터 삼신산의 하나로 신령한 산이라는 것이다. 삼신산이란 금강산, 지리산, 한라산이며, 각…
18개 이름 중 살아남은 '한라산' '동국여지승람'이라는 책에는 그 뜻과 함께 한라산이라는 명칭이 기록됐고, 이와 함께 두무악과 원산이라는 명칭도 사용했다. 이 책은 1481년(성종 12)에 편찬한 지리지이다. 그 후에 나온 '탐라지…
전국적으로 매봉이라는 땅이름이 많이 발견된다. 서울 사람들이 많이 올라가는 청계산 정상도 매봉이다. 매가 앉아있는 모습과 비슷하여 매봉이라 한다고들 설명한다. 그러나 매봉터널 위의 매봉을 보면 나지막하고 부드러운 …
계통·연대 구별로 추정하는 언어인류에 수많은 의미를 갖는 ‘산’음상 변이 없이 유전 가능성 커 제주도에는 언제부터 사람이 살았을까? 사람이 살려면 적어도 동식물이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필요조건일 …
크루즈 재개에도 제주항 출국장 면세점 공간 활용 '감감'
[종합] 오 지사 "협약식 공모 없다" vs 檢 "공약 홍보 목적"
'4·3폄훼' 극우진영 현수막 규탄.. "명예훼손 중단하라"
길거리 개 향해 70㎝ 화살 쏜 40대 범인 붙잡았다
[오수정의 목요담론] 생활권인 항공에 대한 고민
제주공항에 새 주차장 조성... 주차난 해결될까
제41회 대한민국연극제 제주 네트워킹 페스티벌 작품 공모
봄비 내리는 제주 내일까지 '최고 20㎜ 더 온다'
[김양훈의 한라시론] 빨갱이라는 이름의 낙인
전교조제주지부 "대법 판결 무시 굴욕 외교 사과하라"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33] 2부 한라산-(29)부…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32] 2부 한라산-(28)부…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31] 2부 한라산-(27)두…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30] 2부 한라산-(26)두…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29] 2부 한라산-(25)두…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28] 2부 한라산-(24)물…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27] 2부 한라산-(23)물…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26] 2부 한라산-(22)물…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25] 2부 한라산-(21)물…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24] 2부 한라산-(20)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