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진단] 2022년 제주 재도약 (2)무너지는 1차산업

[특별진단] 2022년 제주 재도약 (2)무너지는 1차산업
포스트 코로나 비대면 거래 등 유통환경 개선 시급
농가부채· 해상운송비 국비 지원 단골 해결도 필요
고령화 가속 생산성 약화 농가 부채는 여전히 증가
  • 입력 : 2022. 01.10(월) 18:20
  • 고대로기자 bigroad@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산 노지감귤. 한라일보DB

제주경제의 중심축을 담당했던 1차사업(농림어업)이 무너지고 있다.

 지난 2018년 기준 제주지역GRDP(지역내총생산)에서 1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6.5%였으나 지난 2020년에는 11%로 감소했다.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농업 인구 감소가 생산량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도내 43개 읍면동 가운데 22곳은 65세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20%가 넘는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고령화에 따른 농촌 인력난을 대체할 수 있는 도내 밭농업 기계화율은 2016년 58.3%에서 2020년 61.9%로 5년동안 3.6%포인트 증가에 그쳤다.

 농가 부채도 농민들의 삶을 힘들게 만들고 있다.

 지난 2020년 도내 농가당 소득은 4912만 3000원으로 전년 4896만 3000원보다 16만원 증가했으나 도내 농가 부채는 8254만9000원으로 전년 7512만8000원보다 742만 1000원(9.8%)늘었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동안 농가부채 연 평균 증가율은 제주가 7.1%로, 전국 평균 3.1%를 웃돌고 있다. 영농자금과 하우스 시설 등 고정 자산 투입에 따른 것으로 제주자치도는 분석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농업 집약적인 구조개선이 절실하다.

 농어업 분야에 4차산업 혁명기술이 접목되면 정밀 농업 등이 적용돼 첨단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디지털 격차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거래 방식 확대 등 유통환경 변화가 도래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도 필요하다.

 제주 농민들의 오랜 숙원인 농산물 해상 물류비 국비 지원도 해결해야 할 숙제이다. 도지사와 대선 후보들이 선거때 마다 단골 공약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수표'로 전락하고 있다.

 제주농산물 운송비는 제주항까지 16%, 제주항에서 내륙항까지 37.3%, 내륙항에서 서울 가락시장까지 46.7%를 차지하고 있다. 도외 출하 농산물의 95%를 선박에 의존하고 있으며, 연간 물류비는 750여억원에 달하고 있다.

 도내 어업인구는 2005년 22만 1000명에서 2019년 11만 3000명으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65세 이상 어가 인구비율은 29%에서 39%로 늘었다. 어가 감소와 고령화속도가 빨라지면서 어업 경쟁력도 떨어지고 있다.

 한 농민은 "행정에서 간벌을 하라고 해서 간벌을 했고 월동채소 면적을 줄이라고 해서 줄였다. 지금까지 행정에서 하라는 대로 다 했지만 생활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며 "농사를 짓고 먹고 살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말했다.

도내 한 농업전문가는 "시설 농업은 추세이기 때문에 갈 수 밖에 없는데 관행 농업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또 농어촌 고령화는 청년 유입으로 채울 수 있는데 소득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보니 농어촌으로 가지 않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도 고민을 해야 한다. 그리고 앞으로는 유통이 가장 중요하다. 시장상황에 맞춘 수급 조절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967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