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주 전력계통 수급 안정화 더 서둘러야

[사설] 제주 전력계통 수급 안정화 더 서둘러야
  • 입력 : 2021. 01.11(월) 00:00
  • 편집부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지역의 심각한 전력계통 수급 안정화 문제 해법이 나올 기미다. 정부가 최근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제주지역 전력계통 수급안정화 방안을 포함시킨 것이다. 도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늘면서 남아도는 전력에다 계통 수용성 부족으로 발전기를 강제로 꺼야 하는 비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다만 전력계통 수급안정화 계획은 세웠지만 추진시기 등 세부내용은 언제 나올 지 여전히 미지수다.

정부는 올해부터 오는 2034년까지 15년간 전력설비계획을 담은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지난 연말 확정했고, 여기에 제주지역 전력계통 수급 안정화를 위한 선제적 대응 방침을 넣었다. 도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2019년 기준 14%에 도달,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를 위한 계통안정화용 ESS 설치 등의 수급안정화 대책으로 출력제어 최소화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실제 도내 풍력발전 강제 중지 사례 급증으로 재생에너지 수용성 문제는 심각하다. 지난해 1~8월 풍력발전소 전기를 버린 양이 1만3000여㎿h에 달했고, 송전선 제주계통서 수용가능한 재생에너지 한계량이 최대 590㎿인데 작년 8월 기준 제주 신재생에너지 설비는 600.3㎿로 이미 초과했다.

이 지경에 이르도록 정부와 제주도, 한전은 대체 뭘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오는 2030년까지 도내 전력 사용량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카본프리 아일랜드 2030’정책의 정상추진마저 의문시 될 정도다. 정부가 제주 전력계통 수급안정화 문제의 심각성을 안다면 계획 수립서 한발 더 나아가 조기 추진에 나서야 한다. 오는 2022년말 개통되는 제3송전선 외에 본계통에서 제주계통 방향으로만 운영되는 기존 송전선의 역송 이용방안, 제주계통내 재생에너지시대에 맞는 계통운영능력 수립 등도 함께 검토돼야 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47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