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형 뉴딜 계획' 해상풍력발전 흔들린다

'제주형 뉴딜 계획' 해상풍력발전 흔들린다
바이오 중유 발전소 신재생에너지 대체 1045㎽ 필요
육상풍력등 이미 한계치...해상풍력은 주민반발로 표류
  • 입력 : 2020. 11.16(월) 16:39
  • 고대로기자 bigroad@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특별자치도가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저탄소 섬'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해상풍력발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 추진중인 도내 해상풍력발전 사업들이 지역주민 반발 등으로 무기한 표류하고 있어 '카본 프리 아일랜드 2030' 계획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제주자치도는 지난달 12일 '제주형 뉴딜 종합계획'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없이 혁신 성장동력을 키우는 저탄소 섬으로 자리잡아 세계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 20%달성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으나 이달 현재 제주도의 신재생에너지 생산비율은 14.4%로 전국 최고를 차지하고 있고 전기사용량의 연평균 30%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제주도가 2030년까지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 도내 전력수요 100%를 대응하는 '카본 프리 아일랜드 2030' 계획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내 화력발전소의 발전용량 350㎽를 신재생에너지로 변환해야 한다. 화력발전은 CO2를 배출하는 바이오 중유, 경우, LNG 등이 원료이다. 도내 발전소에서 기존 발전 연료인 중유를 오염물질 배출이 상대적으로 적은 바이오 중유로 교체했으나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발생의 근본적인 오염물질 배출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350㎽ 발전용량을 보유한 바이오 중유 발전소를 신재생에너지 대체하기 위해서는 1045㎽규모의 풍력발전단지가 필요하다.

 도내 육상풍력과 태양광 설치 가능 지역은 이미 한계치를 보이고 있어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가 필요하지만 주민 반발 등으로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대정해상풍력(100㎽)은 일부 주민들의 반발로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고 한림해상풍력(100㎽)도 전기사업허가 까지 받았으나 일부 주민 반발로 표류하고 있다. 한동·평대해상풍력은 환경영향평가가 진행되고 있으나 해녀들의 생존권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

 도내 한 신재생에너지 전문가는 "제주도 발전원별 전력공급 현황을 보면 화력발전 비율이 전체 78.14%, 신재생에너지가 21.33%, 기타 0.53%를 차지하고 있다"면서"화력발전 연료인 바이오 중유를 오염물질 배출이 없는 신재생에너지로 변환이 필요하다. 이는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만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추진하고 있으나 실제 발전까지 5~7년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며 "육지부와 전기를 주고 받을수 있는 제주-완도 제3연계선이 개통되는 2022년말 이후에는 전력과잉에 따른 문제는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238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