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미래, 4차 산업혁명]제주는 무엇을 할 것인가(1)프롤로그

[새로운 미래, 4차 산업혁명]제주는 무엇을 할 것인가(1)프롤로그
4차 산업혁명 정부·대선 핵심과제 부상
  • 입력 : 2017. 02.28(화) 00:00
  • 강시영 기자 syka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경제·사회문화·일자리 등 획기적 변화 예고
기존 주력산업 확대… 성장 특화전략도 시급
대학 인재양성·융복합형 학과 신설 등 모색


새로운 미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제주의 미래 유망산업 전략은 무엇이며,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기존의 생산 방식, 일하는 방식, 그리고 삶의 방식을 혁명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제주사회의 미래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제주 주력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한차원 끌어올릴 수 있는 특화전략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라일보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앞으로 제주 주력산업과 미래 유망산업, 인재양성, 일자리 창출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제주의 대응전략과 과제를 연속 진단한다.

4차 산업혁명은 경제·산업, 사회·문화, 고용·일자리 분야 등 전방위적으로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란 전망이다. 의료, 식문화, 건강, 고령화, 물류·유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산업이 태동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정부는 우리 경제·사회 시스템을 4차 산업혁명에 맞도록 리모델링하겠다고 밝혔다. 점점 거세지는 4차 산업혁명 물결에 대응해 범부처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추진할 과제들을 선정할 방침이다. 대선 후보들은 핵심공약으로 4차 산업혁명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시·도간 치열한 선점 경쟁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이미 각 시·도의 움직임은 활발하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지역산업의 구조전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대구경북연구원은 최근 정책보고서를 통해 대구경북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지역산업을 기술(Technology), 산업(Industry), 인재(Person), 공간(Space) 등으로 구성된 지역산업 전환 모형(T.I.P.S)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를 토대로 산업 간 경계 파괴, 연구개발 전환, 창의적 인재 양성, 미래형 산업단지 조성 등을 제안했다. 부산광역시는 10대 전략산업, 전남은 미래 성장동력산업, 경남은 10대 핵심 전략산업, 경북은 5대 핵심기술 및 산업을 미래 유망산업으로 육성하는 전략을 수립중이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지난 1월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탄소없는 섬, 그린빅뱅 전략을 통해 앞으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글로벌 쇼케이스로 거듭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제주 그린빅뱅은 기후 에너지시대,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해 에너지와 교통을 망라한 새로운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략이다. 지난 23일 도민 대토론회에서 기조강연에 이어 지난 24일 제주시내 메종글래드 호텔에서는 4차 산업혁명 분야 투자유치 전략 모색을 위한 세미나가 마련됐다. 제주에 맞는 투자유치 방안, 새로운 산업과 서비스를 창출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는 자리였다. 최근 일부 외국계 투자회사의 신산업 투자제안 상담도 이뤄지는 것으로 전해진다.

대학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허향진 제주대 총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대학 경영목표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견인할 체제 구축과 기본역량 배양에 뒀다고 밝혔다. 인재 양성과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융복합 학과 신설, 교과과정 개편, 특성화 분야에 대학의 역량과 재원을 집중하려는 전략이다.

제주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은 아직 미미하고 갈길이 멀다. 제주도는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한 제주의 미래 유망산업 육성전략 수립 연구용역을 맡겼다. 제주미래비전의 핵심가치인 '청정과 공존'을 바탕으로 제주 미래산업의 비전과 목표를 도출하고, 제주형 미래 유망산업 발굴, 그리고 각 유망산업별 육성전략을 수립하려는 용역이다. 제주미래비전과 수정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등과도 연계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이 어떻게 제시될지 주목된다. 용역에만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도정이 주도적이고 민첩하게 선도전략과 실행계획을 마련해,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지원협력 정책에 대비해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강시영 선임기자·김지은기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103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