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라일보] 나지막한 천아오름 주변 아름다운 농로를 따라 걸으면 야릇한 평온이 솟아나는 것을 느끼게 된다. 튀어나와 잘난척 하는 것이 없으니 그럴 것이다. 가끔 눈에 들어오는 밭 주변 대나무들이 집터가 있던 곳임을 설명하는 듯하다. 간혹 만나게 되는 연못들은 식용수나 가축들이 물을 마실 수 있는 여건을 제공했던 삶의 근원. 4·3 이전까지만 해도 무려 14개 동네가 분산돼 있던 대촌락이었다. 고유지명 속에 숨어 있는 음절 속에 마을 역사의 숨결이 살아 숨 쉰다. 역고못, 돌개기, 송애못, 한산이왓, 웃천아오름, 알천아오름, 종구실. 사원이다리, 고한이, 못거리, 장수모를, 돔방굴, 케왓, 알가름 등. 조상 대대로 이웃해 살아온 마을이 불타고 다시 재건돼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종구실 지역과 못거리라고 불리던 지항동, 한림3리와 인접한 알동네 정도다. 상대리는 천아오름 인근뿐만 아니라, 직선거리가 4㎞가 넘고 총면적은 1037㏊나 되는 큰 마을이다. 마을 면적에 비해서 주민수가 적다는 것은 귀농귀촌의 적지라는 뜻도 된다. ![]() 장경하 상대리 이장 장경하 이장에게 상대리가 보유하고 있는 가장 큰 자긍심을 묻자 "일찍 일어나는 사람들"이라고 응축된 대답을 내놨다. 아침을 여는 마을이라고 하는 슬로건과 일맥상통하는 메시지이면서도 조상 대대로 부지런한 근면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해 낸 호쾌함이 드러난다. 얼핏 들으면 농촌마을이 지닌 보편적 가치관이요, 삶의 자세를 소중하게 생각한다는 겸손한 표현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그렇지 않다. 너른 경작지를 보유하고서 농사일을 해야 했던 조상들은 너무도 당연하게 해뜨기 전에 일어나 밭으로 나가야 했다. 그러한 생활문화가 그대로 뿌리내려와 후손들의 유전자 속에도 흐르는 것이라고 한다. 거기에 숨겨진 야릇한 풍토까지 엿볼 수 있는 것이 새로운 도전적 상황이 발생하면 먼저 팔을 걷어붙이는 진취적인 기상이 있다는 의미. 뒤따르지 않고 앞서가겠다는 일 욕심. 필자가 상대리라고 하는 마을 이름이 나오면 그러한 자세와 관련한 에피소드가 떠오른다. 94세 할머니가 밭에 가서 김매기를 해야 하는데, 아들들이 급한 일로 밭에 모시고 갈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콜택시를 불러서라도 기어코 밭에 가고야 만다는 이야기. 밭에서 일을 하지 않으면 좀이 쑤시고 죄를 지은 사람마냥 안절부절못하는 품성이 오늘의 상대리를 있게 했다고 강조하는 어르신들. 시간에 쫓겨서 4·3 이전에 있었던 동네들을 모두 돌아보지 못한 것이 아쉽다. 옛 동네들에 위치했던 우물들과 연못, 소로길들과 지금의 자연환경을 보존해 관광자원화 한다면 농업 이외의 발전 잠재력도 충분하다. 농업경관이 보유하고 있는 차분한 느낌과 저 터전을 지켜온 사람들의 정갈한 품성을 만끽할 수 있다면 이는 또 하나의 힐링충전소가 될 수 있는 가능성. <시각예술가> 멀리 수평선이 보이는 감귤밭 <수채화 79㎝×35㎝> ![]() 화면 오른쪽에 배치된 땅과 바다, 하늘.그리고 왼쪽에 있는 집이 그 셋을 큰 무게감으로 지배하고 있는 구도적 형국이다. 면적 대비로 볼 때 그 중요성과 강조하고 싶은 메시지를 그림이라고 하는 상황논리로 표현한 것이다. 한 가족의 살아가는 공간은 그 어떤 거창한 존재들보다도 소중하고 가치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작업이기에. 저 유리창 속 방에서는 어떤 아침 해가 뜨나? 몹시 궁금하다. 천아오름 동쪽에서 <수채화 79㎝×35㎝> ![]() 여름날 오후의 눈부신 햇살이 오름의 실루엣을 강조하기 시작하면 오름의 동쪽에 펼쳐진 나무들이며 풀잎들의 존재는 더욱 부각된다. 자연광선이 발생시키는 깊이와 공간감을 이 시기의 뜨거운 기온과 부합되게 그리고자 한 것이다. 짙거나 연한 빛깔들을 만드는 것은 그 식물의 본연의 것일 수도 있으나 광선의 영향과 배경이라고 하는 공간과 견주어져서 도드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 상황은 명료하게 3단계다. 바탕이 되는 원경의 천아오름과 중경이라고 할 수 있는 삼나무 종류의 배열, 그 나무를 배경으로 가까운 곳에서 싱그럽게 춤추는 연두색 풀잎들이다. 멀리 오름 능선의 소나무들은 참으로 어떤 정한을 보여주는 서정성이 있다. 연필담채에 가깝게 많은 부분 소묘를 통해 명도에서 느낄 수 있는 광선을 묘사하고서 채색은 최소한으로 표현했다. 어떤 의미에서 판화적인 명료성이 부각된 상황이기에 그런 것이다. 평이해 보이나 깊이 바라보면 놀라운 정감이 숨어 있는 그런.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