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라일보] 저출생·고령화로 제주시 인구가 2022년 정점을 찍은 후 계속 줄어들고 있다. 유소년·청년 인구는 꾸준히 감소하고, 고령인구는 증가하며 인구 불균형도 심화되는 가운데 제주시가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 제주시는 인구감소 대응과 청년지원 강화를 위해 3대 전략·11대 추진과제·60개 사업 추진에 총 2407억원을 투입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제주도에서 수립한 '제2차 인구정책 종합계획(2025~2029년)', '2025년 제주 인구정책 시행계획'과 연계해 지역 특성을 반영한 대응방안 마련에 중점을 뒀다. 3대 전략은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 ▷원도심과 읍면지역 활력 제고 ▷청년 유입 활성화 정책이다. 7월 말 기준 제주시 주민등록인구는 48만5933명으로, 1년 전보다 0.7%(3634명) 줄었다. 가장 많았던 2022년 8월(49만4059명)에 견주면 1.6%(8126명) 줄어든 숫자다. 제주시 순이동(전입-전출) 인구는 2022년만 해도 전입인구가 전출인구보다 많아 1276명이 순유입됐지만 2023년에는 순유출로 전환돼 1207명이 빠져나갔다. 2024년에는 전년보다 갑절 이상 많은 2619명이 순유출됐다. 올해 상반기까지 순유출 인구는 1987명으로, 지난해 같은기간(1634명) 대비 21.6%(353명) 늘었다. 7월 기준 총인구(외국인 포함) 중 19~39세 청년인구 비중은 23.9%로, 2020년 26.8%에서 하락했다. 유소년(0~14세) 인구 비중은 2020년 14.2%에서 7월 12.2%로 줄었고, 같은기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6.4%에서 20.7%로 늘면서 인구구조 불균형도 심각한 상황이다. 이같은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시는 지난 7월 정기인사에서 기획예산과에 인구청년통계팀을 신설, 부서별로 추진 중이던 인구·청년 관련 사업을 통합했다. 고립·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사회적 연결망을 강화하기 위해 주민복지과에 1인가구지원팀도 신설했다. 또 경제소상공인과에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과 로컬브랜드 창출사업을 전담하는 '로컬브랜드팀'도 신설했다. 청년 유입 활성화를 위한 청년 지원책도 다각화한다. 2025년 행정안전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에 3년간 6억원을 투입, 청년 활동공간 구축을 통해 청년이 모이는 마을 조성에 나선다. 중소벤처기업부 로컬브랜드 창출사업에도 선정돼 2년 동안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골목상권 육성에도 나선다. 또 현재 진행중인 고향사랑기부제 지정기부사업 목표액인 5000만원이 조성되면 '청년드림, 제주愛올레(olle)' 사업을 진행, 도외 거주 청년을 대상으로 팀당 70만원의 제주 한달살이 거주비 등을 지원한다. 제주시 강기종 자치행정국장은 "인구감소 대응과 청년지원 종합전략에는 현재 제주시가 역점 추진하는 사업을 담았다"며 "도정과 긴밀히 협력해 매년 사업별 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인구감소 대응과 청년지원 계획을 지속적으로 수립·보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