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2일 낮 시간대 제주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한 양문형버스의 문이 열리지 않으면서 승객이 탑승하지 못하거나 하차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해당 버스는 동쪽으로 100m가량을 더 이동한 뒤 멈춰섰다. [한라일보] 최근 개통한 제주 섬식정류장을 둘러싼 시민 불편이 계속되고 있다. 현장에서는 양문형 버스와 노선 혼선 등으로 혼란이 이어지고 있으며, 제주도 온라인 신문고에는 개선을 요구하는 시민의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개통 나흘째인 12일 현장 확인 결과, 제주시외버스터미널 인근에서 양문형 버스의 문이 열리지 않으면서 승객이 탑승하지 못하거나 하차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문이 열리기만을 기다리던 승객들은 결국 버스가 문을 열지 않은 채 출발하는 모습에 당황했고, 이를 지켜보던 버스 안내요원들도 상황 파악에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었다. 해당 버스는 결국 동쪽으로 100m 가량을 더 이동한 뒤 멈춰섰다. 버스에 탑승 중이던 승객들은 차량에서 하차해야했고, 그곳에서 다시 섬식정류장까지 약 3분간의 거리를 걸어서 다른 버스를 이용해야했다. 제주시 노형동에서 버스를 탑승해 아라동을 가는 길이었다던 시민 A씨는 "양문형버스가 도입된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고장이 말이 되는 소리이냐"면서 "가뜩이나 약속시간에 늦었는데 화가 난다. 제대로 운행하지도 않았는데 버스비는 돌려줘야하는 것 아니냐"면서 분통을 터뜨렸다. 노선에 따른 정류장 탑승 위치에 따른 혼란도 계속됐다. 시민들은 버스를 타기 위해 이리저리 정류장 주변을 헤매거나 안내요원에게 연신 질문을 던졌고, 시외버스와 시내버스 탑승 위치가 다르다는 안내에 볼멘 소리를 던지기도 했다. 시민 B씨는 "300번대와 400번대 탑승구를 대체 왜 다르게 해놨는지 모르겠다"면서 "이뿐만이 아니다 시외버스는 또 다른 정류장에서 타야하고. 살다살다 이렇게 불편한 정책은 또 처음본다"고 불평했다. 가로변에 남아있는 일부 버스정류장에는 안내기조차 작동하지 않으면서 시민들의 혼란은 더욱 가중됐다. 도착 예정 시각이나 탑승 노선을 휴대전화 또는 정류장에 붙어져있는 시간표로 확인해야하는 상황에서 시민들은 "새로 생긴 섬식정류장에는 잘만 해놓더니 여기는 버스 도착 정보 시스템 조차 운영을 안한다"면서 "고장이 난건지 뭐한건지. 새로 생긴 곳만 신경을 쓰면 뭐하냐"는 등의 불만을 쏟아냈다. ![]() 제주형 간설급행버스체계(BRT) 고급화 사업에 따라 지난 9일부터 제주시 서광로를 대상으로 섬식 정류장과 양문형 버스가 운행되면서 출퇴근길 극심한 혼잡이 발생하고 있다. 강희만기자 이와 관련해 제주도청 관계자는 "섬식정류장 운영에 따른 시민 불편이 잇따라 도청에 접수되고 있다"면서 "현장 점검을 통해 바로 개선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낮 양문형 버스 문 관련 사건은 고장이 아닌 운전자 조작 미숙 문제로 파악되고 있다"며 "제주터미널 인근 차선과 관련해서는 문제점을 파악했다. 오늘(12일) 내로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정류장 이원화 문제는 관련 안내판을 더욱 명확히 할 계획이다"라며 "가로변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경우에는 전기 시설 설비 문제로 운영에는 1~2달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