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고윤식의 '귀로-유목민들'.사진=제주도립미술관 제공 제주도립미술관이 지금, 여기 제주를 품은 미디어 플랫폼으로 변신을 꾀했다. 12일 막이 오른 '프로젝트 제주'다. '프로젝트 제주'는 도립미술관이 주최하는 두 번째 제주비엔날레 취소에 따라 제주 특색을 반영한 전시 행사로 처음 기획됐다. 이나연 관장이 예술감독을 맡아 '우리 시대에'란 주제 아래 13명(팀)의 작가가 2층 기획전시실, 로비, 중앙정원을 배경으로 영상, 설치 등 신작 20여 점을 냈다. 이들 출품작엔 외부-내부, 발전-보호, 개방-폐쇄, 현실-가상공간의 대립과 혼융 속에 시각예술로 제주라는 정체성을 탐색하고 내일을 모색하는 고민이 들어있다. ![]() 중정콜렉티브의 '중중무진(重重無盡)'. 제주도립미술관 제공 ![]() 반치옥의 '코로나의 지층'. 제주도립미술관 제공 자본으로 내달리는 무한경쟁의 시대에 맞닥뜨린 역병에 대한 성찰로 '쉼'을 이야기하는 공간도 연출됐다. 목재 본연의 물성 등을 이용한 김현성의 '슬러그 벤치 #3', 아트앤디자인(이동임, 박인학, 변화영)의 '느영나영 형형색색', 미술관 중정을 곶자왈로 구성한 중정콜렉티브의 '중중무진(重重無盡)'이 그렇다. 동시대를 들여다보고 있으나 우리가 꿈꾸는 나날은 이미 오래전 있었는지 모른다. 바닷속 영상으로 인간 이외의 다른 것들에 대한 존중을 풀어내는 제인 진 카이젠의 '제물 드림(An Offering)', 제주 자연이 내어준 재료로 겸손하게 밥상을 차린 임서형의 '차롱', 귀향 후 다시금 다가온 제주를 표현한 고윤식의 '귀로-유목민들', 휴대전화로 촬영한 강요배의 영상 작업 '사운드 스케이프 Ⅱ-아일랜딩'은 제주가 걸어온 삶을 새로이 읽으며 과거가 아닌 미래의 풍경이 될 '섬 되기', '섬으로 만들기'를 말한다. ![]() 임서형의 '차롱'. 제주도립미술관 제공 ![]() 강나루의 '씨앗 감각'. 제주도립미술관 제공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