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붉은배지빠귀 지구상의 모든 조류는 계절에 따라 이동을 하는데, 보통 이동거리가 매우 긴 것을 철새라고 한다. 철새들의 이동거리는 종에 따라서 천차만별이지만 보통 수만km∼수백km를 지구의 기온에 따라 1년 주기로 이동하는 것을 알수가 있다. 조류학자들은 조류의 이동을 연구하기 위해 새의 다리에 생활에 불편을 주지않은 범위의 반지고리를 부착해 철새들의 이동 경로를 연구한다. 그 결과 우리가 쉽게 보는 제비의 경우 매년 같은 마을에 대부분의 개체수가 되돌아왔으며, 갈매기류에서는 같은 둥우리에 같은 부부쌍이 몇 해 계속하여 되돌아왔다는 연구 결과를 얻기도 한 적이 있다. 또한 학자들은 철새들이 이동할때 낮에는 태양의 위치를 보면서 이동을 하고 깜깜한 밤에는 어떤 별자리의 위치를 이용한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서 확인이 되었다. 과연 철새들에게 제주도는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 ![]() 이처럼 철새들이 이동을 하면서 우리나라를 거쳐가는 60여종의 여름철새중에 약 30%이상이 제주를 거쳐가면서 우리나라 흑산도를 비롯해 서해안과 남해안에 분포된 섬들 중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수 가 있다. 철새들은 지금 이 시기가 가장 많을 때로 휴일인 지난 24일 우리나라에서는 좀처럼 보기가 힘든 황금새 한쌍을 비롯해 길잃은 새인 붉은배지빠귀, 쇠유리새, 큰유리새, 산솔새, 촉새 등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