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湧泉水   ( 2020-05-14 11:54 )
  NAME : 고수향   |   HOME : https://blog.naver.com/rokmc410
“上水若道” ‘上善若水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최상의 善인 水에 사람이 모여, 길이 만들어지니 ‘上水若道 최상의 물은 길과 같다.’ 거신 설문대할망은 제주를 만들며 한라산의 남쪽지방인 서귀포시와 북쪽지방인 제주시의 모습을 달리 만들었다. 한라산을 다 지은 후 정상에 앉아 산북을 바라보니 올록볼록 오름의 모습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눈을 돌려 산남을 바라보니 오름의 수가 산북보다 덜하여 올록볼록 선의 아름다움이 덜하지 아니한가. 이에 설문대할망은 바람과 파도를 이용해 흙과 돌을 다듬어 기정(절벽)을 만들어 산남에 폭포를 세 곳이나 두었다. 그 폭포로 떨어질 물이 있어야 하니 내린 비를 땅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여 폭포 세 곳에 항상 맑은 물이 철철 떨어지고, 맑은 물이 흐르는 천이 여러 곳이다. 내리는 비는 산남과 산북이 같은데, 폭포가 하나 없고, 모두가 건천인 산북에 내린 비는 다 어디로 갔을까? 산북에 내린 비는 모두가 땅속으로 들어가 해안에 용천수로 솟으니 그 물이 사람을 불러 모으고 취락을 만들어 역사를 만들고, 문화를 만들고, 할망과 하르방의 이야기를 만들었다. 그뿐인가. 그 물로 가장 큰 길인 뱃길이 이어졌다. 조선시대 제주의 제1관문인 화북과 조천에 포구가 만들어진 이유도 올레길을 다니며 그 길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 곳에 포구가 만들어진 이유는 물이 있어 그곳에 사람이 모여 살았으니 포구가 만들어졌고, 포구가 만들어지니 그곳으로 조선의 배들이 들어왔다. 산남과 산북의 용천수의 수는 오름의 수만큼 산북이 많은데 산북지방에서도 제주시의 동쪽 화북, 삼양, 신촌, 조천에 가장 많은 용천수가 솟는다. 그래서 그 용천수따라 아주 오랜 옛날부터 그곳에 사람들이 모여 살며 취락을 형성하고, 자연스레 포구가 만들어지니 그곳으로 조선의 문화가 들어왔고, 그곳으로 역사가 들어왔고, 그곳으로 유배인들이 들어왔고, 그곳으로 조정의 관료들이 들어왔다. 전라남도 강진에서 배를 띄우면 바람과 해류의 영향으로 들어 왔다지만, 그 화북과 조천으로 배가 들어온 이유는 용천수에 사람이 모여살며 포구가 만들어졌기에 그곳으로 배가 들어온 것이다. 그러니 제주의 길은 湧泉水의 길, 上水若道이다.
  SIT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