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0일 바다식목일을 아시나요?
2023-05-01 21:00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매년 4월 5일은 식목일이다. 이는 육지의 환경, 대기 오염, 더 나아가 사막화를 막아 산림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제정된 나무를 심는 날이다. 이러한 보통의 식목일을 아는 사람은 많을 것이다. 그러나 바다의 사막화라 불리는 백화현상, 이를 막기 위해서 2013년 새로 만들어진 바다식목일 또한 존재한다.

백화현상이란 갯녹음 현상이라고도 불리며, 해조류가 사라지고 산호처럼 생긴 석회질 성분의 홍조류만 바닷속에 퍼져있는 현상을 의미한다. 지구온난화로 해수 온도 상승은 해조류가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드는데, 이 때문에 석회질 성분의 홍조류만 남게 되고, 이마저 죽으면 석회 성분 때문에 하얗게 보이기 때문에 백화현상이라 불리는 것이다.

백화현상이 지속된다면 홍조류가 번성하고 이로 인해 해조류는 살아갈 장소를 확보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는 해조류를 서식지로 하는 물고기들의 살아갈 터전마저 잃어버리게 만들어 바다가 황폐화되는 바다의 사막화라고 불리는 것이다.

이러한 백화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해조류가 풍부히 자라는 이른바 ‘바다 숲’ 조성이 필요하다. 이렇게 해조류를 심어 바다 숲을 조성하기 위한 기념일이 바로 ‘바다식목일’이다. 백화현상은 어업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우리 제주도에게 있어 매우 치명적인 환경 오염 현상으로 제주도에서도 발생하고 있으며 ‘바다식목일’의 활성화와 해양생태계 보전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제주도 해양수산부는 바다 숲 조성을 위해 바다식목일에 해조류 심기 등의 바다 녹화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바다식목일은 일반 시민에게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바다식목일의 활발한 홍보와 해양 환경 사업 및 행사를 통해 육지의 식목일처럼 일반 지역 사회에 친근하게 다가가 생활화되었으면 한다. 바다식목일에 바다에 해초 씨앗 뿌리기, 해안 플로깅과 같은 자원봉사, 생활 쓰레기 분리수거, 쓰레기 되가져가기 운동 등의 바다식목일 참여와 생활 습관으로 시민 주도의 바다 가꾸기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풍요로운 바다 생태계를 가꾸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과거에 산림녹화를 통해 우리 산을 푸르게 만들었던 것과 같이 이제는 우리의 바다에 푸른 숲을 가꿀 차례이다.

이번 5월 10일 바다식목일이 해양생태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NAME : ロレックススーパーコピー | 2023-09-20
商品が来るのはとても早かったです。しっかり梱包されていました。
迷っていたので、今思えばお電話してご相談させていただけばよかったかなと思ってます。またお買い物するときはよろしくお願いします。
【送料無料】カルティエ リングをセール価格で販売中♪カルティエ リング Cドゥ パヴェダイヤ WG ホワイトゴールド 9号 新品 指輪 Cartier
ロレックススーパーコピー https://www.ginza78.com/repurika-11266.html 코멘트삭제

No 제목 이름 날짜
3503 [기고] 모두 함께 참여해주세요 '소방차 출동로 확보'  ×1 ×1 [1] 구좌119센터 소방사 장호인 08-17
3502 당신의 소중한 제안이 정책이 됩니다.  ×1 비밀글 고기봉 08-13
3501 안덕119센터에서의 실습을 마치며.  ×1 김의정 08-10
3500 농촌사랑은‘못난이 농산물’소비에서부터  ×1 비밀글 조정훈 08-04
3499 기고문 소방차에 양보하세요.  ×1 ×1 [2] 한림119센터 소방장 이정훈 08-03
3498 "눈에 보이지 않는 불편, 시각장애인 점자 표기 문제의 실태에 대한 고찰"  ×1 [1] 한영실 08-01
3497 기루위기 대응 '바로 나부터 실천하자!'  ×1 [1] 오조리 마을회 07-28
3496 제주영락종합사회복지관 어르신심리정서지원프로그램‘쉼표’실시  ×1 [2] 제주영락종합사회복지관 07-27
3495 (주)제이피엠 사랑의 헌혈봉사  ×1 [1] (주)제이피엠 07-21
3494 주민자치위원회 활성화에 대한 기대  ×1 [1] 한관수 07-20
3493 ‘비대면 소통강화로 적극행정 실천’  ×1 [2] 제주경제통상진흥원오치헌주임 07-18
3492 (기고문)아스파탐, 계속 먹어도 되는걸까?  ×1 ×1 비밀글 이휘재(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07-17
3491 제주요트투어(주)와 함께 취약계층 해양레저활동을 위한 업무협약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7-13
3490 더불어 살아가는 의미있는 동행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7-13
3489 대정119센터 소방 실습을 마치며  ×1 ×1 [1] 한라대 응급구조과 실습생 강태운 07-12
3488 안덕119센터 실습을 마치며  ×1 고은빈 07-12
3487 주차난에 밀려난 통학로  ×1 고경연 07-11
3486 (기고)7월 재산세 성실납세에 적극 동참을   ×1 고종필 07-07
3485 기고(지역사회에서 노인돌봄해결, 노노케어)  ×1 [1] 제주도청 노인복지과 유은숙 07-06
3484 해양수산연구원 어업인 대상 오분자기 종자생산 기술교육  ×1 홍성완 07-06
3483 (기고) 우수관광사업체, 믿고 가는 제주 관광  ×1 고선일(제주특별자치도 관광산업과) 07-04
3482 제주 (주)제이피엠 본사 건물 화단에 100년에 한 번 피는 '소철꽃' 개화  ×2 (주)제이피엠 07-04
3481 지구  ×1 비밀글 오조리 마을회 07-01
3480 에너지캐시백 활용, 전기절약 도전!   ×1 한전 제주본부 에너지효율부 대리 김종 06-30
3479 귀농 귀촌 살아보기로 지방 소멸 극복하자(농협안성교육원 강평구 교수)  ×1 ×1 농협안성교육원 강평구 교수 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