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걸어가는 우리는 보행자!
2022-11-08 23:52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주영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함께 걸어가는 우리는 보행자!

김주영,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11월 11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빼빼로 데이’일 것이다. 친숙한 날이기는 하지만 씁쓸한 마음을 감출 수 없다.
농업인들을 비롯해 많은 이들은 11월 11일 하면 농업인의 날(가래떡 데이)로 기억하기도 한다. 이 밖에도 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11월 11일은 지체장애인의 날, 가곡의 날, 해군창립기념일, 1차 세계대전 종전 기념일, 서점의 날, (철도)레일데이, 눈(目)의 날 등의 날이기도 했다. 하지만 저는 여러분들에게 빼빼로 데이가 아닌 다른 11월 11일을 소개하고 싶다.

바로 ‘보행자의 날’이다.‘ 보행자의 날’은 2010년 ‘지속가능 교통물류 발전법’에 의해 산업화에 따른 미세먼지 증가와 에너지 위기 도래, 환경 보호 요구에 대응하고 국민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걷기의 중요성을 확산하고자 국가 기념일로 지정됐다.

11월 11일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되면서 녹색 교통의 기초가 되는 보행자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가 되고 있다. 우리는 누구나 보행자이다.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하더라도 결국에는 보행자가 된다는 것이다. 걷고 싶은 길, 걸을 수 있는 길, 안전한 길이 있어야 보행자가 걷게 될 것이다.

보행자가 길을 걷다 보면 다양한 장애물을 만나게 된다.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킥보드 등 인도와 차도를 자유롭게 바꿔가며 주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이들은 보행자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불안한 보행자들은 점차 걷는 것을 거부하고 교통수단을 이용해 이동하는 것을 선호하게 될 것이다.

교통수단을 이용해 이동하면 할수록 환경에는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국가와 지방단체는 최고의 친환경은 도보라는 것을 기억하고 보행자를 위한 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 서로가 내 가족, 친구, 소중한 사람일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안전하게 운전하고 안전하게 건너야 한다. 하루빨리 매년 11월11일이 ‘빼빼로데이’면서 ‘보행자의 날’로도 함께 기억되는 날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끝으로 제일 중요한 것은 차에서 내리는 순간 우리 모두 '보행자'이다. 우리 가족을 위해서 보행자와 노인이 배려받는, 차량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인 교통문화가 하루빨리 정착되기를 기대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348 3.8 세계여성의날 기념 BPW한국연맹 제주클럽  ×1 BPW KOREA JEJU 03-08
3347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BPW 한국연맹 제주클럽   ×1 bpwkoreajeju 03-08
3346 3․8세계여성의날 기념 YWCA제주특별자치도협의회-제주경찰청 간담회 개최  ×1 (사)서귀포YWCA 03-08
3345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 직접 민주주의 꽃피웁니다!  ×1 ×1 제주시 청년지원팀장 이명기 03-08
3344 「흙의 날」에 생각해보는 흙의 소중함  ×1 ×1 비밀글 조정훈 03-07
3343 열린평생학습디자인에 도민제안을 담는다  ×1 ×1 문원영 03-06
3342 기고(인공지능 스마트경로당 본격 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3-06
3341 왜 제주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위해 노력하는가  ×1 ×1 에너지산업과 오정헌 03-06
3340 우리아이들의 ‘건강한 한끼’, 세이브더칠드런이 함께 합니다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3-06
3339 들불축제와 함께 제주 축산을 생각한다 비밀글 양창범 03-06
3338 파란 하늘을 위한 작은 실천, 자동차 탄소 중립 포인트제  ×1 고기봉 03-02
3337 제주 미래농업을 위한 혁신의 주체는 농업인이다.  ×1 ×1 비밀글 김혜은 03-02
3336 체리슈머와 로컬푸드  ×1 ×1 비밀글 조정훈 03-02
3335 서귀포YWCA,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모집 신민경 02-28
3334 이도2동, 모두가 함께하는 즐거운동네사업 추진   ×1 ×1 이도2동 02-27
3333 13월의 보너스 고향사랑기부제와 함께  ×1 ×1 한미선 02-24
3332 사회복지법인 청수 한부모와 자녀들 입학&졸업 축하 기념식 개최  ×1 애서원 02-23
3331 (기고)대공간 지하층 피난 안전관리의 중요성  ×1 ×1 안덕119센터 소방사 김덕남 02-22
3330 제이피엠 사랑의 헌혈봉사  ×1 (주)제이피엠 02-20
3329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1 강평구 02-16
3328 정전 사고 예방을 위한 아파트 노후 변압기 교체․지원  ×1 한전 제주본부 영업계획팀장 김경수 02-15
3327 기후위기시대 자연보호 활동의 중요성  ×1 자연보호중앙연맹 표선면지회장 강 희 02-14
3326 중문요양원 화재안전컨설팅  ×1 중문119센터 소방사 강준수 02-14
3325 기고(인공지능으로 어르신의 삶의 질 높인다)  ×1 유은숙 02-13
3324 안전한 물 통합관리에 달렸다.  ×1 고기봉 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