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바다의 위기 이제는 보호해야
2022-10-18 19:27
기고문.hwpx ( size : 883.95 KB / download : 1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제주 바다의 위기 이제는 보호해야
조윤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요즘 제주에서 가장 심각하게 두드러지는 문제는 갯녹음 현상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제주의 바다는 이미 갯녹음 현상으로 인해 사막이 되어가고 있다.
갯녹음 현상은 바닷물 속에 있는 탄산칼슘이 녹지 못해 해저의 바닥이나 암반에 하얗게 달라붙는 현상으로 사막화 현상이라고도 한다.
녹색연합은 올해 2~3월 제주도 내 43곳을 선정해 갯녹음 진행 상황을 발표했는데 제주시 권역은 19곳 중 12곳이 ‘진행단계’, 7곳이 ‘심각단계’이다. 특히 서귀포시 권역은 조사대상지 24곳 모두 ‘심각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갯녹음 현상은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해양오염, 과도한 연안 개발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해조류가 사라지고 해녀의 작업 공간인 마을 어장의 생태계가 훼손된다. 심각하게는 제주의 문화유산인 제주 해녀가 소멸할 수도 있다.
해조류는 이미 사라지기 시작했다.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서귀포시)이 통계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뭇가사리 생산량은 2011년 4830t에서 지난해 350t으로 4480t(89.8%) 급감했다.
미역류 생산량은 2011년 205t에서 2021년 59t으로 146t(65%) 감소했다. 모자반류 생산량도 2011년 260t에서 2021년 13t으로 247t(95%), 톳 생산량은 2011년 1518t에서 2021년 29t으로 1489t(98.1%) 줄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중림을 조성했지만, 오히려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다. 갯녹음 현상으로 인해 사라지는 해조류를 다시 번식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인공어초를 해저로 내려보냈다. 그러나 이 인공어초에서 녹아나는 석회석으로 인해 갯녹음 현상이 더욱 심각해졌다.
이에 정부는 갯녹음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첫째, 바다숲 조성 사업이다. 바다숲을 조성한 지역에는 사막화된 바다에 살 수 없었던 소라와 같은 바다생물이 다시 나타나는 등 확실한 성과를 보였다. 둘째, 바다식목일 지정이다. 국민들에게 해양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해양수산부에서 매년 5월 10일을 바다식목일로 지정한 것으로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정해진 날이다.
여전히 갯녹음 현상은 심각하다. 이를 막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우리들의 노력이다.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등 일상생활에서부터 작은 노력을 실천한다면 그 노력들이 모여 바다를 지킬 수 있을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359 블루카본의 흡수원, 염생식물을 주목하자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미선 03-22
3358 봄바람이 분다  ×1 효돈119센터 김순아 03-22
3357 제주 관광, 이대로 괜찮은가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성환 03-21
3356 병역 의무자들을 위한 군 적금 자세히 알아보자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임성렬 03-20
3355 제주가 낳은 찔레꽃 가수 ‘백난아 기념관’에 대하여  ×1 서귀포시 상효동 장문석 03-20
3354 제주가 낳은 찔레꽃 가수 '백난아 기념관'에 대하여  ×1 양문석 03-20
3353 제주평생교육카드로 평생학습권을 누리세요   ×1 평생교육팀장 문원영 03-20
3352 3월 22일은 세계 물의 날, 제주의 물 반드시 지켜내야!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현진 03-12
3351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촛불의식 및 세미나 (주제: “백 년을 먼저 불던 바…  ×2 BPW한국연맹 제주클럽 03-11
3350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서귀포신협부녀회와 함께 3년만에 어르신을 위한 …  ×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3-10
3349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 직접 민주주의 꽃피웁니다!  ×1 제주시 청년지원팀장 이명기 03-10
3348 3.8 세계여성의날 기념 BPW한국연맹 제주클럽  ×1 BPW KOREA JEJU 03-08
3347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BPW 한국연맹 제주클럽   ×1 bpwkoreajeju 03-08
3346 3․8세계여성의날 기념 YWCA제주특별자치도협의회-제주경찰청 간담회 개최  ×1 (사)서귀포YWCA 03-08
3345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 직접 민주주의 꽃피웁니다!  ×1 ×1 제주시 청년지원팀장 이명기 03-08
3344 「흙의 날」에 생각해보는 흙의 소중함  ×1 ×1 비밀글 조정훈 03-07
3343 열린평생학습디자인에 도민제안을 담는다  ×1 ×1 문원영 03-06
3342 기고(인공지능 스마트경로당 본격 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3-06
3341 왜 제주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위해 노력하는가  ×1 ×1 에너지산업과 오정헌 03-06
3340 우리아이들의 ‘건강한 한끼’, 세이브더칠드런이 함께 합니다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3-06
3339 들불축제와 함께 제주 축산을 생각한다 비밀글 양창범 03-06
3338 파란 하늘을 위한 작은 실천, 자동차 탄소 중립 포인트제  ×1 고기봉 03-02
3337 제주 미래농업을 위한 혁신의 주체는 농업인이다.  ×1 ×1 비밀글 김혜은 03-02
3336 체리슈머와 로컬푸드  ×1 ×1 비밀글 조정훈 03-02
3335 서귀포YWCA,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모집 신민경 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