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는 육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바닷속 온난화 ‘해양열파’
2022-10-17 19:37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미선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온난화의 영향은 육지뿐 아니라 바닷속까지 심각한 상황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바닷물의 수온이 상승하면서 해양열파가 발생함에 따라 산호초 백화를 비롯해 바다와 연안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 ‘바다 폭염’이라고도 불리는 '해양열파(MHWs, Marine Heatwaves)' 는 수일에서 최대 한 달까지 수천 제곱킬로미터에 걸쳐 해양 표면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해양열파로 인한 해양 생태계 파괴의 대표적 사례인 산호초 백화 현상(Coral bleaching)은 수온 상승으로 산호의 세포조직 내에 살고 있는 황록공생조류가 빠져나가 흰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렇게 되면 해양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산호초 군락이 소멸하고 산호초를 집으로 삼는 어류들의 개체가 줄어들게 되면서 해양생물의 다양성이 위협받게 된다. 해양열파는 해양 생태계의 근간인 식물성 플랑크톤의 집단 폐사, 해양의 이산화탄소 흡수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특히 연안에 해양 열파가 발생하면 어류와 패류 양식이 초토화되어 어업 종사자까지 심각한 손실로 이어진다. 어족자원의 감소는 우리 밥상에 오르는 수산물도 변화함을 의미한다.

국립수산과학원이 지난 9월 21일 발간한 '2022 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한반도 해역의 수온은 기후변화로 지난 1968년부터 54년동안 약 1.35℃ 상승해 해양온난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같은 상승세가 지속되면 2100년에 최대 4℃까지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 갯녹음, 적조, 해양생물 집단 폐사 등으로 관련 산업 피해까지 나타나 그 심각성을 느끼고 있는 시점이다.

해양은 전 지구에서 인위적으로 증가한 열의 90% 이상, 온실가스 배출량의 20~30%를 흡수하여 기후변화의 완충지대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해양 시스템이 임계점을 넘기 전에 국가적, 국제적 해양 환경 및 생태계 연구를 통해 해양 기후변화를 과학적으로 예측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해양열파의 주요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효성 있는 기후변화 정책과 더불어 개인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냉·난방 에너지 및 전력 절약, 환경친화적 소비, 올바른 분리배출,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기 사용, 식생활 개선 등 일상생활 속 꾸준한 실천과 노력이 육상과 해양 생태계 모두를 보호하는 방법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348 3.8 세계여성의날 기념 BPW한국연맹 제주클럽  ×1 BPW KOREA JEJU 03-08
3347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BPW 한국연맹 제주클럽   ×1 bpwkoreajeju 03-08
3346 3․8세계여성의날 기념 YWCA제주특별자치도협의회-제주경찰청 간담회 개최  ×1 (사)서귀포YWCA 03-08
3345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 직접 민주주의 꽃피웁니다!  ×1 ×1 제주시 청년지원팀장 이명기 03-08
3344 「흙의 날」에 생각해보는 흙의 소중함  ×1 ×1 비밀글 조정훈 03-07
3343 열린평생학습디자인에 도민제안을 담는다  ×1 ×1 문원영 03-06
3342 기고(인공지능 스마트경로당 본격 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3-06
3341 왜 제주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위해 노력하는가  ×1 ×1 에너지산업과 오정헌 03-06
3340 우리아이들의 ‘건강한 한끼’, 세이브더칠드런이 함께 합니다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3-06
3339 들불축제와 함께 제주 축산을 생각한다 비밀글 양창범 03-06
3338 파란 하늘을 위한 작은 실천, 자동차 탄소 중립 포인트제  ×1 고기봉 03-02
3337 제주 미래농업을 위한 혁신의 주체는 농업인이다.  ×1 ×1 비밀글 김혜은 03-02
3336 체리슈머와 로컬푸드  ×1 ×1 비밀글 조정훈 03-02
3335 서귀포YWCA,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모집 신민경 02-28
3334 이도2동, 모두가 함께하는 즐거운동네사업 추진   ×1 ×1 이도2동 02-27
3333 13월의 보너스 고향사랑기부제와 함께  ×1 ×1 한미선 02-24
3332 사회복지법인 청수 한부모와 자녀들 입학&졸업 축하 기념식 개최  ×1 애서원 02-23
3331 (기고)대공간 지하층 피난 안전관리의 중요성  ×1 ×1 안덕119센터 소방사 김덕남 02-22
3330 제이피엠 사랑의 헌혈봉사  ×1 (주)제이피엠 02-20
3329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1 강평구 02-16
3328 정전 사고 예방을 위한 아파트 노후 변압기 교체․지원  ×1 한전 제주본부 영업계획팀장 김경수 02-15
3327 기후위기시대 자연보호 활동의 중요성  ×1 자연보호중앙연맹 표선면지회장 강 희 02-14
3326 중문요양원 화재안전컨설팅  ×1 중문119센터 소방사 강준수 02-14
3325 기고(인공지능으로 어르신의 삶의 질 높인다)  ×1 유은숙 02-13
3324 안전한 물 통합관리에 달렸다.  ×1 고기봉 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