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늘어난 환경오염의 주범, 플라스틱 폐기물은 누구의 책임인가
2022-03-30 22:21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최근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 장기화로 이어지고 있다. 우리는 직접 쇼핑하지 않고 택배를 이용한 인터넷 쇼핑을 사용하고, 음식점이나 술집이 아닌 배달음식을 시켜 먹는 소비양상에 익숙해져 갔다. 이는 플라스틱의 사용량이 급증하게 된 이유이며, 플라스틱의 폐기물 발생량에 대하여 아직도 나 몰라라 하는 무책임한 행태가 보이기도 한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을 이용한 일회용기와 카페에서 사용하는 일회용품 컵 사용량이 갑작스럽게 늘어나면서 환경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급증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환경부는 4월 1일부터 일회용품 금지라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시행을 가동한다. ‘제로 웨이스트’란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려는 캠페인을 의미한다.

그러나 4월부터 시행되는 일회용품 금지는 제대로 홍보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19의 확산세가 그치지 않았다는 점에서 방역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는 자영업자에게 책임을 떠넘기기식이 아니냐는 비판의 우려도 담겨있다.

마이클 조던은 “장애물을 만났다고 반드시 멈춰야 하는 것은 아니다. 벽에 부딪힌다면 돌아서서 포기하지 말라. 어떻게 벽을 오를지, 벽을 뚫고 나갈 수 있을지, 또는 돌아갈 방법은 없는지 생각하라.”라는 말을 건넨다. 코로나19라는 장애물을 만났다고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그대로 보고만 있는 게 아니다. 오염을 막기 위해 벽을 부딪치고,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이 다 같이 책임을 가지고 해결책을 강구해나가야 한다.

환경을 살리기 위해 일회용품 사용 규제가 원만히 활성화가 되려면 정부는 적극적인 홍보에 힘써야 한다. 또한 혼란을 감소할 수 있는 정확한 지침을 전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시민들은 일회용품을 사용했다고 해서 안전하다는 공식을 버리고 일회용품을 대체할 수 있는 품목과 규제대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품목을 점진적으로 수용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을 줄여나가야 한다.

모두가 플라스틱과 일회용품의 사용을 줄이고 책임을 지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정부, 기업, 시민은 환경보호를 위해 변화에 적응해나가야 한다. 주위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친환경 활동부터 참여하면서 현세대뿐만이 아니라 미래세대를 위하여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시점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181 요양시설 화재안전에 진심을 담자  ×1 오희숙 07-08
3180 제주도, 어르신 주거정책 확대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7-07
3179 생명의 문, 비상구 '안전을 위한 백신'  ×1 서귀포소방서 06-29
3178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개최   ×1 서귀포YWCA 06-28
3177 보행자 안전을 위한 건설사업장 보행안전도우미 배치 의무화  ×1 ×1 김성수 06-28
3176 공사장 화재예방의 첫걸음 '안전수칙 준수'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문동식 06-26
3175 스마트경로당을 아시나요?  ×1 제주도청 유은숙 06-25
3174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참가자모집  ×1 서귀포YWCA 06-23
3173 마늘·양파 의무자조금 납부, 생산농업인의 의무이자 권리  ×1 식품원예과 강형미 06-20
3172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교육 [건강 in 식생활]6월 초…  ×1 서귀포YWCA 06-20
3171 시민들이 지키는 골든타임, ‘소방차 출동로 확보’  ×1 성산 센터 119 소방사 김정호 06-16
3170 자동차세 납부의 달 6월, 연납 신청  ×1 삼도2동 06-14
3169 2022 서귀포시 행복드림아카데미 사회공헌 및 전문역량과정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8 서귀포YWCA, 창립30주년 기념 청소년대상 차세대리더지원사업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7 일상 속 노인혐오 문화 경계하기, 노인 학대 예방의 첫걸음.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9
3166 ‘백신 없는 플라스틱 팬데믹’ 플라스틱 줄이기로 행동해야 한다.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6
3165 유기동물 줄이려면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조성이 ‘열쇠’ 사설보호소에 …  ×1 홍은정 06-05
3164 무인화 결제 시스템의 명암  ×1 김태훈 06-03
3163 선거철이면 밤•낮 없이 울려대는 선거 전화 해결책은?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2 제주사랑렌트카 김경란 대표, (사)제주YWCA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공간 환경… 추현우 06-03
3161 제주 바다에서 ‘남방큰돌고래’가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1 고하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0 기후변화로부터 우리가 지켜야 할 자산 ‘해양생태계’  ×1 김현주 06-02
3159 제주 오랜 삶의 터전 오름, 몸살을 앓다  ×1 이민서 06-01
3158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2강좌 개최 및 3강좌 모집  ×1 서귀포YWCA 05-30
3157 탄소중립을 위한 제주 자전거도로 확충해야  ×1 조예진 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