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감귤원 간벌과 품질관리가 중요하다
2022-03-17 11:03
강준형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모든 농산물의 가격지지는 품질관리가 답이다. 소비자는 가격이 비싸도 품질(맛)이 좋으면 구매하는 경향이 높다.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 소비패턴 변화, 농산물 시장환경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도 감귤산업의 경쟁력을 지키고 감귤 조수입 1조 원을 바라보는 것은 감귤정책에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농가들이 있기에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감귤의 경쟁력 강화와 맛있는 감귤을 생산하기 위한경제과원 조성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감귤원 1/2 간벌사업은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사업으로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14,543ha의 면적에 대하여 간벌을 추진하였다.

감귤원 1/2간벌은 밀식된 감귤나무를 줄 단위로 간벌함으로써 수세를 안정시키고, 햇빛을 고루 받을 수 있어 고당도 감귤 생산이 가능하며, 작업로가 충분히 확보되어 병해충 방제 및 감귤 수확 시간이 단축되는 등 농작업 편리성 등이 효과가 있다.

또한, 소비자가 선호하는 맛있는 감귤 생산으로 과잉생산을 방지하고, 주 출하시기 원활한 유통처리가 가능하여 농가의 소득으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감귤 해거리 현상으로 감귤생산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주 수출국인 러시아 감귤 수출 전망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감귤 농가에서는 지속되는 감귤 가격 호조세로 간벌을 하면 손해라는 인식과 무임승차하려는 농가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럴 때일수록 감귤 농가들은 지난 과거의 위기를 극복했던 것처럼

No 제목 이름 날짜
3181 요양시설 화재안전에 진심을 담자  ×1 오희숙 07-08
3180 제주도, 어르신 주거정책 확대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7-07
3179 생명의 문, 비상구 '안전을 위한 백신'  ×1 서귀포소방서 06-29
3178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개최   ×1 서귀포YWCA 06-28
3177 보행자 안전을 위한 건설사업장 보행안전도우미 배치 의무화  ×1 ×1 김성수 06-28
3176 공사장 화재예방의 첫걸음 '안전수칙 준수'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문동식 06-26
3175 스마트경로당을 아시나요?  ×1 제주도청 유은숙 06-25
3174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참가자모집  ×1 서귀포YWCA 06-23
3173 마늘·양파 의무자조금 납부, 생산농업인의 의무이자 권리  ×1 식품원예과 강형미 06-20
3172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교육 [건강 in 식생활]6월 초…  ×1 서귀포YWCA 06-20
3171 시민들이 지키는 골든타임, ‘소방차 출동로 확보’  ×1 성산 센터 119 소방사 김정호 06-16
3170 자동차세 납부의 달 6월, 연납 신청  ×1 삼도2동 06-14
3169 2022 서귀포시 행복드림아카데미 사회공헌 및 전문역량과정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8 서귀포YWCA, 창립30주년 기념 청소년대상 차세대리더지원사업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7 일상 속 노인혐오 문화 경계하기, 노인 학대 예방의 첫걸음.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9
3166 ‘백신 없는 플라스틱 팬데믹’ 플라스틱 줄이기로 행동해야 한다.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6
3165 유기동물 줄이려면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조성이 ‘열쇠’ 사설보호소에 …  ×1 홍은정 06-05
3164 무인화 결제 시스템의 명암  ×1 김태훈 06-03
3163 선거철이면 밤•낮 없이 울려대는 선거 전화 해결책은?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2 제주사랑렌트카 김경란 대표, (사)제주YWCA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공간 환경… 추현우 06-03
3161 제주 바다에서 ‘남방큰돌고래’가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1 고하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0 기후변화로부터 우리가 지켜야 할 자산 ‘해양생태계’  ×1 김현주 06-02
3159 제주 오랜 삶의 터전 오름, 몸살을 앓다  ×1 이민서 06-01
3158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2강좌 개최 및 3강좌 모집  ×1 서귀포YWCA 05-30
3157 탄소중립을 위한 제주 자전거도로 확충해야  ×1 조예진 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