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노인 교통사고 우리 모두의 문제다)0
2022-02-23 14:45
고기봉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노인 교통사고 우리 모두의 문제다
‘빠름’보다는 ‘바름’ 운전의 필요


제주지역 고령자 비율이 15%를 넘어서면서 고령사회에 들어선 가운데 초고령화 사회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는 2019년 65세 이상 인구가 14.8% 비율인 10만769명으로 집계된데 이어 2020년15.3% 비율인 10만6533명으로 조사되면서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진입했다.이처럼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시점에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노인 교통사고이다.

2019년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는 전체 1천302명이고 그 중 65세 이상이 743명으로 57.1%를 차지했다. 이는 노인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34.6명인 것으로, OECD 회원국 평균의 3배를 넘는 매우 심각한 수준인 것이다.
이처럼 고령 운전자들의 운전면허증을 반납해 교통 불편을 느낀 고령자들이 다시 원동기 면허증을 취득한 뒤 운행 중 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농촌 지역이 그렇듯이 고령화되어 나이 많은 어르신들이 경운기나 사발이 오토바이를 운전하거나 편도1차선의 도로를 오로지 목적지만 보고 좌우를 살피지 않고 뛰어 건너거나, 갓길을 통행하는 어르신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들은 앞서가는 경운기• 오토바이 등을 보면 속도를 줄이자. 도로에 서있는 어르신들을 보면 우리의 부모님, 우리의 가족이라 생각하고 멈추자! 먼저 지나갈 수 있도록 기다리자!
발생하는 교통사고는 큰 인명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도로위의 왕은 보행자라는 것을 잊지 말자.
현재 우리가 사는 바쁘고 빠르게 돌아가는 세상 속에서, 행복한 순간만큼은 시간이 멈추었으면 하고 바라는 것처럼 때론 느림의 미학이 필요하지 않을까?'빠름'과 '바름'이 자음 하나 차이로 그 의미가 크게 달라지듯이 우리의 생명과 소중한 일상생활을 지키기 위한 첫걸음으로 '빨리빨리' 문화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요즘 보행자의 안전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자동차 운전자의 배려가 정말로 필요한 시기이다. 사람이 우선임을 잊지 말자고 당부드린다. 

끝으로 원동기 오토바이 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도로교통안전협회와 경찰청에서 2008년처럼 찾아가는 안전교육을 하면서 고령운전자 교육도 함께 실시 해주었으면 한다.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이장 고기봉

No 제목 이름 날짜
3180 제주도, 어르신 주거정책 확대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7-07
3179 생명의 문, 비상구 '안전을 위한 백신'  ×1 서귀포소방서 06-29
3178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개최   ×1 서귀포YWCA 06-28
3177 보행자 안전을 위한 건설사업장 보행안전도우미 배치 의무화  ×1 ×1 김성수 06-28
3176 공사장 화재예방의 첫걸음 '안전수칙 준수'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문동식 06-26
3175 스마트경로당을 아시나요?  ×1 제주도청 유은숙 06-25
3174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참가자모집  ×1 서귀포YWCA 06-23
3173 마늘·양파 의무자조금 납부, 생산농업인의 의무이자 권리  ×1 식품원예과 강형미 06-20
3172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교육 [건강 in 식생활]6월 초…  ×1 서귀포YWCA 06-20
3171 시민들이 지키는 골든타임, ‘소방차 출동로 확보’  ×1 성산 센터 119 소방사 김정호 06-16
3170 자동차세 납부의 달 6월, 연납 신청  ×1 삼도2동 06-14
3169 2022 서귀포시 행복드림아카데미 사회공헌 및 전문역량과정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8 서귀포YWCA, 창립30주년 기념 청소년대상 차세대리더지원사업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7 일상 속 노인혐오 문화 경계하기, 노인 학대 예방의 첫걸음.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9
3166 ‘백신 없는 플라스틱 팬데믹’ 플라스틱 줄이기로 행동해야 한다.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6
3165 유기동물 줄이려면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조성이 ‘열쇠’ 사설보호소에 …  ×1 홍은정 06-05
3164 무인화 결제 시스템의 명암  ×1 김태훈 06-03
3163 선거철이면 밤•낮 없이 울려대는 선거 전화 해결책은?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2 제주사랑렌트카 김경란 대표, (사)제주YWCA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공간 환경… 추현우 06-03
3161 제주 바다에서 ‘남방큰돌고래’가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1 고하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0 기후변화로부터 우리가 지켜야 할 자산 ‘해양생태계’  ×1 김현주 06-02
3159 제주 오랜 삶의 터전 오름, 몸살을 앓다  ×1 이민서 06-01
3158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2강좌 개최 및 3강좌 모집  ×1 서귀포YWCA 05-30
3157 탄소중립을 위한 제주 자전거도로 확충해야  ×1 조예진 05-29
3156 제주 바다의 골칫거리 ‘구멍갈파래’, 알고보니 영양 가득!  ×1 비밀글 고하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