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환경교육 - '코로나'로부터 환경을 지키자
2021-06-13 21:55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난 지금 마스크 쓰기와 손소독제를 바르는 것은 일상이 됐다. 코로나19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지만, 생태계 환경 파괴로 인해 동물의 감염병이 사람에게 옮겨진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코로나로 인해 나아지지 않는 이 상황 속에서 우리는 새로운 환경에 익숙해지고 있다. 사람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익숙해질 수 있지만 우리와 함께 하고 있는 자연환경은 우리에게 맞춰서 살아가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코로나 이후에 사용된 마스크의 양은 넘쳐난다. 마스크 생산과 사용량, 이로 발생되는 쓰레기는 당연히 많아졌다. 여기서 더 큰 문제는 마스크 사용 후 처리 과정의 문제이다. 마스크의 끈을 제대로 자르지 않고 버리게 되면 그 끈으로 인해 죽어가는 생명체들이 생겨나고 있다. 마스크는 단지 쓰레기의 증가에만 문제를 주기보다는 생명체에까지 피해를 주고 있다는 현실을 말해주고 있다.

다음으로 코로나 이후 더욱더 많이 발생된 환경 문제의 원인은 바로 포장 용기(일회용용기)이다. 외부로 나가려 하는 것이 어려워질 때쯤 사람들은 배달 음식을 많이 섭취하였고 배달로 오는 일회용품 용기들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쓰레기 증가의 상황으로 자연스레 이어지게 되었다. 용기뿐만 아니라 음식을 포장하는데 필요한 비닐류들이 평소보다 증가했다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마스크와 배달 문화에서는 쓰레기 문제를 또 당연하게 발생시키게 되었다. 우리가 의도한 문제는 아닐지라도 우리에게 닥친 코로나19로 인해 다가온 문제이기 때문에 우리가 나서야 하고 해결해야 한다. 마스크를 안 쓸 수는 없기에 사용 후 처리가 중요한 것이고 배달을 안 시킬 수는 없기에 불필요한 쓰레기를 만들지 말자는 것이다. 어려운 상황에 있다 할지라도 환경을 지켜야 하는 주체는 우리이다.

다행인 점은 우리가 환경문제를 일으켰기에 우리의 노력으로 환경문제를 잠재울 수 있다는 점이다. 결국 환경에 대한 우리의 태도가 중요하다는 것인데, 우리가 환경문제에 대해 무지하다면 무엇으로 노력할 지는커녕 무엇이 문제인지도 직면하기 힘들다. 그래서 환경교육은 중요하다.

신세대가 더 많이 환경에 대해 생각하고 배움으로써 환경에 대한 올바른 환경감수성과 인식을 길러 기성세대가 된 뒤에도 환경보호에 적극적이고 다음 세대에게도 환경과 관련된 제대로 된 인식을 가지게 하는 사회로 나아가길 희망한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고수아

No 제목 이름 날짜
3028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코로나19 심리방역을 위한 [건강한식생활교육 및 콩…  ×1 서귀포YWCA 11-22
3027 성전환 수술을 거친 트랜스젠더, 우리는 그들을 인정하고 있나  ×1 고민희 11-22
3026 어린이보호구역의 불법주정차 금지 제안  ×1 김정열 11-21
3025 [기고]올바른 난방용품 사용으로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 보내기  ×1 ×1 남원119센터 11-19
3024 열려라, 공익활동 공간  ×1 김현(제주공익활동지원센터) 11-18
3023 ‘2021 전도 신장장애인 파크골프대회’ 성료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17
3022 아동 학대 예방의 날을 기억해 주세요!  ×1 김은지 11-17
3021 반복되는 아동학대! 여러분들의 관심과 동참이 절실합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아동보호전문기관 11-16
3020 1980년에 멈춰있는 성소수자들의 삶  ×1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전공 이혜윤 11-15
3019 “우리, “마음(心) 겨울 채비” 할까요!”  ×1 한전 제주본부 한은진 차장 11-15
3018 112는 언제나 여러분 곁에 있습니다.  ×1 ×1 제주경찰청 112상황실 경감 강권삼 11-13
3017 날이 갈수록 말라가는 제주의 물  ×1 비밀글 김제곤 11-13
3016 11월 11일, 이제는 유엔 참전용사의 날로 기억되길  ×2 제주대학교 2학년 이해창 11-09
3015 [기고] 농업인의 날, 빼빼로데이와 상생해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8
3014 의료 사각지대로 내몰린 농촌, 기다릴 여유가 없다.  ×1 임규현(농협창녕교육원 교수) 11-08
3013 2021년 노인일자리(전기차충전기관리사업)를 마치며..  ×1 허옥일 11-05
3012 자원순환사회로 가는 제주  ×1 ×1 제주도청 자원순환관리팀장 정근식 11-04
3011 김장철 원산지 위반, 이제는 달려져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3
3010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해신사, 김석윤 가옥, 제주목 관아, 삼성혈 4곳에…  ×1 제주문화진흥재단 11-03
3009 코로나19, 일상회복 그리고 농업인의 날  ×1 유승훈(농협구례교육원 교수 11-02
3008 기고  ×1 이선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11-01
3007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2021 새 생명 나누기’사랑의 장기기증 …  ×1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01
3006 우리 가족을 위한 보행자 중심 교통문화 만들기  ×1 ×1 생활공감 정책 10-31
3005 국민의 비상벨 112 올바른 신고를 당부한다 강준익 10-30
3004 알고 있었나요?편리한 지방세 납부 방법  ×1 강동훈/남원읍사무소 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