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을 둘러싼 윤리적 쟁점
2021-06-06 13:18
서대권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코로나19는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2차, 3차, 4차 재유행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변이의 출현까지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띄며 풍토병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듯 하다. 코로나 19는 이제 우리의 일상이 되었고, 결국 백신과 치료제의 개발만이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공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될 것이다. 다행히 조금씩 풀리는 백신 수급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와 제주도 역시 본격적인 백신 접종이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는 점과 백신 개발사 뿐 아니라 전 세계가 코로나 치료제 개발을 위해 전력을 쏟고 있다는 점은 그나마 다행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여전히 이슈화되는 불평과 불안의 목소리를 들으며, 전 세계적인 팬데믹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지금 우리는 백신의 안전성과 분배의 문제, 백신에 얽힌 이해관계와 윤리적 쟁점에 대해 한 번쯤은 비판적 사고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첫 번째 ‘안전성’문제이다. 불과 1년만에 초고속으로 개발과 승인이 마무리되고 접종이 시작된 약품으로 전 세계 각국에서 부작용 및 사망사례가 보고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 백신의 종류별 접종자 대상 선정 및 접종 시기 결정 등에 대해 여전히 다양한 논쟁이 진행중이다. 그러나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백신접종과 부작용 등 안전성 논란 자체는 국민과 국가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으나 이를 정치적 이슈화 하여 정쟁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공정한 정보와 의견을 제공하고, 국민들과 정책 결정자들은 사익을 배재하고 건전한 토론을 거쳐 최선의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협조하려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두 번째 ‘분배의 공정성’ 문제이다. 2020년 2월, 안토니우스 구테흐스 유엔(UN)사무총장은 “단 10개국이 백신의 75%를 투여한 반면 130여 개국은 단 한차례도 접종하지 못했다”면서 “백신이 희망을 낳고 있지만 백신 접종 진행은 매우 고르지 못하고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러한 백신 이기주의로는 대유행 위기를 벗어날 수 없다고 경고하면서 선진국들에 백신의 공정한 분배를 거듭 촉구했다. 백신의 소유권이 연구의 자유, 재산에 대한 권리와 같은 근본적인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긴 하지만, 전 세계적인 유행병의 비정상적인 상황에 있어서 특허권 및 소유권에 대한 윤리적인 우려가 제고된다. 궁극적으로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모든 사람이 백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지적재산권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글로벌한 경제적, 정치적 합의 및 조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지금 지역과 국가를 넘어선 전 세계적 위기와 마주하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연대와 결속이 중요한 시점이다. 인류의 궁극적 목적인 ‘사람’이 모든 판단과 가치 결정의 가장 중요한 준거가 되어야 함을 우리 모두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028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코로나19 심리방역을 위한 [건강한식생활교육 및 콩…  ×1 서귀포YWCA 11-22
3027 성전환 수술을 거친 트랜스젠더, 우리는 그들을 인정하고 있나  ×1 고민희 11-22
3026 어린이보호구역의 불법주정차 금지 제안  ×1 김정열 11-21
3025 [기고]올바른 난방용품 사용으로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 보내기  ×1 ×1 남원119센터 11-19
3024 열려라, 공익활동 공간  ×1 김현(제주공익활동지원센터) 11-18
3023 ‘2021 전도 신장장애인 파크골프대회’ 성료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17
3022 아동 학대 예방의 날을 기억해 주세요!  ×1 김은지 11-17
3021 반복되는 아동학대! 여러분들의 관심과 동참이 절실합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아동보호전문기관 11-16
3020 1980년에 멈춰있는 성소수자들의 삶  ×1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전공 이혜윤 11-15
3019 “우리, “마음(心) 겨울 채비” 할까요!”  ×1 한전 제주본부 한은진 차장 11-15
3018 112는 언제나 여러분 곁에 있습니다.  ×1 ×1 제주경찰청 112상황실 경감 강권삼 11-13
3017 날이 갈수록 말라가는 제주의 물  ×1 비밀글 김제곤 11-13
3016 11월 11일, 이제는 유엔 참전용사의 날로 기억되길  ×2 제주대학교 2학년 이해창 11-09
3015 [기고] 농업인의 날, 빼빼로데이와 상생해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8
3014 의료 사각지대로 내몰린 농촌, 기다릴 여유가 없다.  ×1 임규현(농협창녕교육원 교수) 11-08
3013 2021년 노인일자리(전기차충전기관리사업)를 마치며..  ×1 허옥일 11-05
3012 자원순환사회로 가는 제주  ×1 ×1 제주도청 자원순환관리팀장 정근식 11-04
3011 김장철 원산지 위반, 이제는 달려져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3
3010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해신사, 김석윤 가옥, 제주목 관아, 삼성혈 4곳에…  ×1 제주문화진흥재단 11-03
3009 코로나19, 일상회복 그리고 농업인의 날  ×1 유승훈(농협구례교육원 교수 11-02
3008 기고  ×1 이선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11-01
3007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2021 새 생명 나누기’사랑의 장기기증 …  ×1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01
3006 우리 가족을 위한 보행자 중심 교통문화 만들기  ×1 ×1 생활공감 정책 10-31
3005 국민의 비상벨 112 올바른 신고를 당부한다 강준익 10-30
3004 알고 있었나요?편리한 지방세 납부 방법  ×1 강동훈/남원읍사무소 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