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을 둘러싼 윤리적 쟁점
2021-06-06 13:18
|
|||
---|---|---|---|
서대권 (Homepage : http://)
|
|||
그러나 여전히 이슈화되는 불평과 불안의 목소리를 들으며, 전 세계적인 팬데믹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지금 우리는 백신의 안전성과 분배의 문제, 백신에 얽힌 이해관계와 윤리적 쟁점에 대해 한 번쯤은 비판적 사고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첫 번째 ‘안전성’문제이다. 불과 1년만에 초고속으로 개발과 승인이 마무리되고 접종이 시작된 약품으로 전 세계 각국에서 부작용 및 사망사례가 보고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 백신의 종류별 접종자 대상 선정 및 접종 시기 결정 등에 대해 여전히 다양한 논쟁이 진행중이다. 그러나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백신접종과 부작용 등 안전성 논란 자체는 국민과 국가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으나 이를 정치적 이슈화 하여 정쟁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공정한 정보와 의견을 제공하고, 국민들과 정책 결정자들은 사익을 배재하고 건전한 토론을 거쳐 최선의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협조하려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두 번째 ‘분배의 공정성’ 문제이다. 2020년 2월, 안토니우스 구테흐스 유엔(UN)사무총장은 “단 10개국이 백신의 75%를 투여한 반면 130여 개국은 단 한차례도 접종하지 못했다”면서 “백신이 희망을 낳고 있지만 백신 접종 진행은 매우 고르지 못하고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러한 백신 이기주의로는 대유행 위기를 벗어날 수 없다고 경고하면서 선진국들에 백신의 공정한 분배를 거듭 촉구했다. 백신의 소유권이 연구의 자유, 재산에 대한 권리와 같은 근본적인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긴 하지만, 전 세계적인 유행병의 비정상적인 상황에 있어서 특허권 및 소유권에 대한 윤리적인 우려가 제고된다. 궁극적으로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모든 사람이 백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지적재산권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글로벌한 경제적, 정치적 합의 및 조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지금 지역과 국가를 넘어선 전 세계적 위기와 마주하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연대와 결속이 중요한 시점이다. 인류의 궁극적 목적인 ‘사람’이 모든 판단과 가치 결정의 가장 중요한 준거가 되어야 함을 우리 모두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
|
[종합] 새벽 시간 제주 교차로서 차량 6대 충돌 8명 사상
김광수 교육감, 주민 반발에 "서귀북초 소나무 안 벤다"
제주 귀농·귀촌 열기 한 풀 꺾였다
국힘 제주도당 원희룡 이어 이번엔 이준석 제주 출마 요청
은퇴 급증, 신규 찔끔.. 앞날 걱정되는 여섯 번째 '해녀의 날'
헬스케어타운 녹지병원 자리에 민간병원 추진되나
"제주여상, 일반고로 전환해 달라" 총동창회 서명운동 시작
어승생정수장 물부족 해결 지하수 개발 추진 '논란'
제주도의회 '천원 아침밥' 제도화 추진 현장 행보 눈길
"제주화전, 도민 정체성·근현대사 주요 골격" [火田]
우장·미깡·도감·돌챙이… 영상으로 기록한 '서…
제주도 "다음달 행정구역 갯수·후속조치 비용도…
"유보통합 TF 아직도.." 지적에.. 도교육청·도 '추…
23일 오후 제주 강풍 순간풍속 초속 15m '주의'
"2025년 APEC 정상회의는 빛나는 제주에서"
김경학 의장 "행정체제 모든 정보 제시해 도민 …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9월 22일 제주뉴스
감사위 "제주개발공사 사회공헌사업 허위 실적 …
기초학력 보장법 시행 1년.. "지정 교사 부담만 …
제주해경, 선박 화재 대응 능력 강화 도상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