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사회적 폭력 이대로 괜찮을까
2021-05-28 16:21
반복되는 사회적 폭력 괜찮을까.hwp ( size : 11.00 KB / download : 1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2020년 한 고려대학교 학생이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심정지로 목숨을 잃는다. 학업에 의한 스트레스? 취업에 대한 고민? 아니다. 그는 성범죄자로 무고하게 몰려서 목숨을 잃었다. 형사들의 강압적인 수사 때문에? 아니다. 그는 수백 수천명의 안면도 없는 익명의 다수가 보낸 비난의 눈초리에 목숨을 잃었다.
마찬가지로 2020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채정호 교수 역시 성 착취물을 구매하려 했다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알지도 못하는 수 백 수 천명의 사람들에게 비난의 눈초리를 받았다. 그는 적극적으로 누명을 벗기 위해 노력했고 결국 아무런 잘못도 없음이 드러났지만 그것이 그에게 가한 수백의 비난이 잘못없다 하진 못할것이다.
위 사건들의 공통점은 폭로의 대상자들이 공식적인 사법절차에 의해 유죄 - 무죄의 판결을 받고 그에 관한 비판을 받은게 아닌 디지털 교도소라는 개인의 사적제재를 목적으로 한 사이트로 인하여 피해를 받았다는 것이다. 저 사건의 피해자들 모두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가장 큰 문제점이 바로 판결 이전부터 가해진 사회적, 집단적 폭행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 발생한 한강 의대생 실종 사건에서 이런 사회적 폭행은 여전히 자행되고 있다. 사망한 손정민씨의 친구 A씨는 손정민씨가 실종된 그날 수상한 정황을 보였다. 하지만 그 수상한 정황이 그에게 가해지는 수많은 사회적 폭력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친구 A씨가 나중에 범인으로 특정되고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지금의 그는 사회의 여느 학생과 다를바 없는 생활을 누릴 권리가 있고 그 누구의 압박 없이 그런 생활을 누려야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친구 A씨와 그의 아버지로 추정되는 인물들의 신상이 온라인 상에 유포됐고 아버지가 운영한다고 알려진 병원에 악플을 남기고 별점 1점을 주는 등의 사회적인 폭력이 가해지고 있으며 친구 A씨의 친구가 5월 12일 A씨는 현제 정신이 완전히 무너진 상태로 이민까지 고려중이라며 과열된 네티즌들을 비판하는 글을 남긴바 있다.
작금의 세태는 더이상 간과해도 될 상황이 아니다. 온라인에서 가해지는 사회적인 폭력들은 이미 무고한 희생자들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심지어 목숨을 잃는 피해자들도 발생하고 있다.
지금의 상황을 바라보면 부화뇌동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남들도 욕하기에 자신들도 욕하는 현 사회가 그런 분노의 굴레에 빠져든것만 같다. 하루라도 빨리 이 사회가 이런 굴레를 끊고 화합의 한발을 내딛으면 어떨까.

No 제목 이름 날짜
3005 국민의 비상벨 112 올바른 신고를 당부한다 강준익 10-30
3004 알고 있었나요?편리한 지방세 납부 방법  ×1 강동훈/남원읍사무소 10-29
3003 서귀포시노인복지관 노인일자리를 통해 나의 노년의 즐거움을 찾다  ×2 가순열 10-28
3002 서귀포YWCA 평화아카데미 현장탐방 진행  ×1 서귀포YWCA 10-27
3001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추자도에서 최영장군 사당 등 정비 진행  ×2 제주문화진흥재단 역사문화자돌봄센터 10-27
3000 비대면 디지털 건강관리 집중  ×1 ×1 오미옥 10-25
2999 (기고)신고포상제를 아시나요?  ×1 연동119센터 현재민 10-21
2998 (기고)위드 코로나 시대 장애인 인권  ×1 ×1 비밀글 강지호 10-20
2997 서귀포YWCA 청장년영상촬영&콘텐츠제작 진행  ×1 서귀포YWCA 10-19
2996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은 이렇게  ×1 성산 10-19
2995 스토킹 범죄 신고는 112  ×1 강준익 10-16
2994 청렴과 코로나  ×1 ×1 비밀글 송경아 10-09
2993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9월 뉴스레터  ×1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10-08
2992 제주체육고등학교설립의필요성  ×1 강권식 10-08
2991 관광객으로 인한 제주 환경의 몸살, 환경보전기여금으로 회복 노력 필요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소언 10-08
2990 당신의 일방적인 관심! 스토킹 범죄일 수 있습니다.  ×1 박성욱 10-04
2989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제주 바다 이대로 괜찮은가. -오염수 방류에 대한…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은지 10-03
2988 저탄소 농산물 랜선 체험단 모집  ×1 서귀포YWCA 10-01
2987 노인 교통사망 사고 제로화를 위하여  ×1 비밀글 고기봉 10-01
2986 "아폴로 11호"에서 우주여행을 다니는 세상으로  ×1 고경희 10-01
2985 냄비 속 인간  ×1 김대영(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9-26
2984 스토킹은 애정이 아닌 범죄입니다.  ×1 윤여정 09-26
2983 제주형 5차 긴급생활지원금 신청하세요  ×1 ×1 제주시 위생관리과 김성수 09-16
2982 청와대 국민청원 고광식 09-15
2981 각종 피싱사기 추석절 대목을 노린다  ×1 강준익 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