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수확, 임업선진국의 시작
2021-05-27 13:11
산림조합중앙회제주지역본부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산림조합중앙회 신임 제주지역본부

한민 본부장

목재수확, 임업선진국의 시작


나무를 심고 목재를 생산하는 일!
이것은 지속적인 산림관리의 시작이며, 자연과 인간에게 꼭 필요한 일이다.

우리나라는 일제의 목재 수탈과 전쟁 피해, 연료 사용 등으로 헐벗은 산림을 녹화하기 위하여 나무를 심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세계에서 가장 빨리 산림녹화에 성공한 나라가 되었으며, 나무를 심는 목적 또한 경관용, 내화(산불에 강한 나무)용, 방풍(바람에 잘 견디는 나무)·방연(탄소흡수 등 대기오염에 강한 나무)·경제수(목재로서 사용할 나무) 등으로 그 사용 목적과 생육환경을 고려하여 변화하였다.
우리 정부는 지난 50여 년간 산림의 조기 녹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숲 가꾸기와 병충해방제 목적 외의 목재생산을 엄격히 제한해 왔다. 그 결과 산림녹화는 이루었으나, 정작 목재를 생산하여 가공·활용하는 기업은 원재료를 수입에 의존하게 되어 다른 산업에 비해 위축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산림청에 따르면 매년 목재를 생산하기 위해 베어내는 나무의 양은 국내 입목 량의 0.5%에 불과하고, 이는 OECD 주요 29개국과 비교해도 27위에 그칠 정도로 낮은 수준이며, 국산목재 자급률은 수년째 15% 내외를 유지하여 국내 목재 수요량의 85% 정도를 외국에서 수입한 목재로 충당하고 있다.

이제는 산림정책에도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50여 년 동안 묵묵히 산을 가꾸어 온 산주와 임업인들은 소유 산림이 사유재산이지만 국토 보전과 공익이라는 이유로 재산권이 침해당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건강한 숲과 우량대경재를 얻기 위한 솎아베기는 가능하나, 벌기령에 도달하지 않은 나무의 모두베기를 법으로 금하고 있다. 나무를 심고 베어 수입을 얻기까지는 매우 긴 시간이 요구되며, 산주들은 산림에서 얻는 수입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매년 재산세를 납부하고 있다.
설령, 벌기령에 도달한 나무를 생산하여 판매한다고 해도 수입 목재에 비해 낮게 책정되는 가격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산주들은 산림경영에 대한 관심도가 낮아지고 있고, 산림관리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렇듯 정부의 산림정책에 대한 불만족이 표현되고 있으며, 나무를 심는 목적이 단순 자급자족에서 산림의 경제적·공익적 기능 향상을 통한 다양한 가치 창출로 변화하듯 국민들의 산림에 대한 요구 또한 다양하다.
따라서 정부는 목재생산 행위를 엄격히 제한하기 보다는 벌기령에 도달한 나무와 이용 가치가 낮은 나무를 활용함으로써 목재 수입에 의한 외화 유출을 줄이는 동시에 우수한 재질과 탄소흡원 증진에 유익한 종류의 나무를 심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국산 목재 수요에 부응하고, 산림의 공익기능을 최대화하여 국민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산림서비스를 제공하는 산림으로 바꿔야 한다.

이제는 목재로서의 가치와 공익적 기능이 낮은 나무는 베어내고 공익과 실익이 함께하는 정책의 변화를 모색해야 할 때이다.
산림청은 산주들의 사유재산권 보호와 국내 목재산업 육성 그리고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30억 그루 나무심기 추진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는 ‘백두대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국립공원 등 보전가치가 높은 산림은 생물다양성 보전을 최우선 가치로 보호’하면서 산림자원의 선순환과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을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나무를 심어 목재를 생산하는 것이 건전한 산림생태계 유지와 목재를 활용하는 인간의 생산활동을 위해 꼭 필요한 활동임을 인정하지 않고 ‘목재생산 = 환경 파괴’를 이유로 숲의 보존만을 주장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금부터라도 목재생산의 필요성 자체를 부정하거나 축소하고자 하는 논쟁보다는 인간의 생산활동과 생태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공익과 실익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생산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탄소중립을 위한 30억 그루 나무심기의 시작인 목재생산은 환경 파괴가 아닌, 제2의 임업 중흥과 산림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시작이라는 점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184 선박화재 항상 대비 이뤄져야  ×1 고기봉 07-12
3183 폭염대비! 어렵지 않아요!  ×1 동홍119센터 소방교 강규택 07-11
3182 농촌문화유적길  ×1 고성봉 07-11
3181 요양시설 화재안전에 진심을 담자  ×1 오희숙 07-08
3180 제주도, 어르신 주거정책 확대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7-07
3179 생명의 문, 비상구 '안전을 위한 백신'  ×1 서귀포소방서 06-29
3178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개최   ×1 서귀포YWCA 06-28
3177 보행자 안전을 위한 건설사업장 보행안전도우미 배치 의무화  ×1 ×1 김성수 06-28
3176 공사장 화재예방의 첫걸음 '안전수칙 준수'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문동식 06-26
3175 스마트경로당을 아시나요?  ×1 제주도청 유은숙 06-25
3174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참가자모집  ×1 서귀포YWCA 06-23
3173 마늘·양파 의무자조금 납부, 생산농업인의 의무이자 권리  ×1 식품원예과 강형미 06-20
3172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교육 [건강 in 식생활]6월 초…  ×1 서귀포YWCA 06-20
3171 시민들이 지키는 골든타임, ‘소방차 출동로 확보’  ×1 성산 센터 119 소방사 김정호 06-16
3170 자동차세 납부의 달 6월, 연납 신청  ×1 삼도2동 06-14
3169 2022 서귀포시 행복드림아카데미 사회공헌 및 전문역량과정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8 서귀포YWCA, 창립30주년 기념 청소년대상 차세대리더지원사업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7 일상 속 노인혐오 문화 경계하기, 노인 학대 예방의 첫걸음.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9
3166 ‘백신 없는 플라스틱 팬데믹’ 플라스틱 줄이기로 행동해야 한다.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6
3165 유기동물 줄이려면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조성이 ‘열쇠’ 사설보호소에 …  ×1 홍은정 06-05
3164 무인화 결제 시스템의 명암  ×1 김태훈 06-03
3163 선거철이면 밤•낮 없이 울려대는 선거 전화 해결책은?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2 제주사랑렌트카 김경란 대표, (사)제주YWCA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공간 환경… 추현우 06-03
3161 제주 바다에서 ‘남방큰돌고래’가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1 고하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0 기후변화로부터 우리가 지켜야 할 자산 ‘해양생태계’  ×1 김현주 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