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한 씨앗기금이 되길
2021-01-26 15:04
고선아 (Homepage : )
‘양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한 씨앗기금이 되길

제주도 성평등정책관 고선아 주무관
제주특별자치도는 올해에도 제주사회에 양성평등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양성평등기금’을 지원한다. 올해 지원 규모는 지난해에 비해 다소 감소한 1억 2천만원이다.
특히 올해에는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성불평등이 두드러지는 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다. 여성의 안전과 관련된 주제의 기획 공모와 일상생활 속 성평등한 문화 확산을 위한 사업을 주제로 한 자유 공모 두 가지 분야로, 오는 2월9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기획 공모 분야는 정책방향에 맞는 사업을 선정해 여성 안전 관련 사업에 대해 사업별 5천만원까지 지원하고, 자유 공모 분야는 일상생활 속 양성평등 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으로, 사업별 1천만원 이하, 총사업비의 90%를 지원한다.
지난 2020년에도 양성평등기금은 제주의 성평등지수를 상위지역으로 만드는 ‘씨앗’역할을 했다고 자부한다. 성평등을 주제로 한 문학토론, 청년성평등 운동, 성평등을 위한 문화예술 네트워크 지원, 아름다운 공존 로드맵사업을 통해 적지않은 성과를 내고 있다.
얼마전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미국을 ‘성평등 국가’로 발전시키겠다며 백악관 젠더정책위원회를 만들겠다고 했다. 미국뿐 아니라 코로나19로 전 세계의 모든 것이 바뀌었다.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사회의 구성원이자 인격 주체로써 서로를 존중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더 양성 평등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우리 모두 관심을 두고 노력해야 할 때이며, 제주가 더 성평등한 제주 실현을 위하여 양성평등 기금 공모사업 지원을 통해 그 중심에 제주가 있길 기대해본다.

No 제목 이름 날짜
2921 코로나-19가 불러온 ‘플라스틱 대란’  ×1 ×1 김소현 05-25
2920 2030 무공해차 전환 100 전기차의 효능과 혜택, 환경적인 결함은 무엇일까  ×1 강향기나 05-24
2919 식탁에 올라온 미세플라스틱, 플라스틱 사용 줄여야  ×1 김두아 05-24
2918 친환경 제주, 도시 숲과 공원이 답이다.  ×1 송민주 05-24
2917 전동 킥보드 편리함 뒤에 숨은 위험성  ×1 현수진 05-24
2916 기후위기 그리고 채식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정다연 05-23
2915 기후위기 그리고 채식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정다연 05-23
2914 제주 환상자전거길 제대로 활용이 되는가? : 환장자전거로의 전락  ×1 강지원 05-21
2913 개인형 이동장치(전동 킥보드) 안전하게 알고 타야 하는 ‘개인형 이동장…  ×1 김다빈 05-20
2912 가정의 달 5월, ‘가정위탁의 날’을 아시나요?  ×1 ×1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 05-20
2911 바다의 날에 즈음하여  ×1 ×1 고기봉 05-18
2910 주거,복지를 통합한 고령자복지주택 확충을 바라며 고경희 05-17
2909 코로나19와 교통안전 결국 예방이 먼저-'안전속도 5030'정책 시민 동참이 절…  ×1 허예진 05-17
2908 [기고]안전한 교통 환경을 위해 불법 주·정차 이제 그만!  ×1 양지온 05-11
2907 (기고)‘길잃음 사고’ 예방, 우리모두 안전히 집으로  ×1 ×1 비밀글 노형119센터 05-11
2906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블랙야크와 함께하는 '야크 …  ×1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05-07
2905 제주시 공원녹지과 노인맞춤돌봄서비스 가드닝 지원 사원 시범 사업 업무…  ×2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05-06
2904 서부종합사회복지관, 애월 꿈 성장 배움터 개강식 진행  ×2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5-06
2903 서부종합사회복지관, 이팔청춘실버학당 개강식 진행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5-06
2902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로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자!  ×1 ×1 영어교육도시119센터 김보형 05-06
2901 제주도 대중교통체제의 보완점 제시  ×1 고현정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5-05
2900 제주 환상자전거길 제대로 활용이 되는가?  ×1 강지원(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5-05
2899 신산공원으로 알아보는 도시 내 생태공원의 필요성  ×1 백지원(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5-05
2898 (기고) '신선이 머무는 곳' 방선문  ×1 오라동 05-04
2897 엄마, 아빠가 바쁠 땐? 천원의 행복으로 해결 하세요!  ×1 오정애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