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까지 위협하는 미세플라스틱, 플라스틱 사용 줄여야
2020-12-16 09:40
|
|||
---|---|---|---|
김두아 (Homepage : http://)
|
|||
해안쓰레기의 대부분인 플라스틱은 바다로 떠내려간 플라스틱이 풍화작용으로 인해 작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이 된다. 미세플라스틱은 시간이 지나도 햇빛과 풍화작용에 의해 더욱 미세화 될 뿐 분해되지 않는다. 분해되지 않는다면 수거를 해야 하는데, 조개와 구분하기 쉽지 않고 매우 작은 크기 때문에 수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질을 빨아들여 고농축 독성물질로 변한다.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을 해양생물들이 먹이로 착각하여 먹고, 그대로 식탁으로 올라와 인간이 섭취하게 된다. 수산물뿐만 아니라 지하수, 소금 등에서까지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플라스틱의 인체 섭취 평가 연구’ 결과 매주 평균 한 사람당 섭취하는 미세플라스틱은 약 5g으로 신용카드 한 장과 같은 양이다. 이렇게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축적되면 발암물질이 되어 우리의 건강과 안전까지 위협할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의 수거가 어려운 만큼 플라스틱 사용과 폐기 자체를 줄이는 수밖에 없다. 무분별한 쓰레기 투기를 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플라스틱 컵 대신 텀블러 사용, 비닐 대신 에코백 사용, 다회용 빨대와 유리 용기 사용 등 귀찮음을 이겨내어 환경을 지켜야 한다. 우리나라는 플라스틱 생산과 일회용품 규제를 강화해야 하며,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위해성 및 관리 연구와 대책 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부와 국민이 합심하여 미래세대를 위해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두아 |
|
[열린마당] '소상공인 손실보상' 바로 알고 보상받자
"나눔 실천·환경보전 시민의식 제고 기획을"
제주·서귀포 YWCA "도지사 당선 후 여성정책 실행 지켜볼 것"
제주 교육공무직 노조·고의숙 후보 "교육복지 공동 노력"
서울-제주 고속철도 지방 선거 공약으로 다시 등장
강성의 제주도의원 후보 "29일 화북주공 삼거리 총력 유세"
곽성규 제주도의원 후보 "노후 주택 증·개축 및 주차난 해결
"김한규 후보의 거짓선동 끝까지 강력 응징"
제주해경 '자동 리프트백' 자체 개발해 구조 현장 투입
[제주도지사 선거]허향진 "대정읍지역 표심 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