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의 감상문
2020-08-19 14:47
오지현 (Homepage : http://)
"여기서는 먹고사는게 먼저야,,,
어디있을지 죽을지도 모르는 사람이 아니라, 여기있는 누군가가 너를 책임져줄 수 있을거야..
네 친구가 저기 있어... 저사람에게 간다면, 배는 안굶을거야...'
사랑때문에 울지마라..."
위는 영화의 한 장면 중 '마리아'의 대사이다. 이로 전쟁 후에 독일 여성들이 겪었던 문제점을 어떻게 풀어나가면서 살아남는지에 대한 생존의 방법을 보여주며 당시 독일 사회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담담히 드러내는 '마리아 브라운의 결혼' 영화에 대한 평을 전문가적인 면모보단 조금 서툴지만 적어보려한다.
배경은 1960년대 말 부터 1970년대에 걸쳐 독일에서 일어난 2차 세계대전 후의 독일 영화는 침체에 허덕이고 있었는데 60년대 영화 산업 외부에서 활동하던 일련의 젊은 영화인들에 의해 독일 영화가 부흥된 뉴 저먼 시네마 시기로 영화의 장면마다 사회성이 담겨져있는 것을 보아 인상적인 장면으로 손꼽을 수 있었다. 독일 사회의 황폐함과 참혹한 현실이 담긴 장교 한명이 버린 담배 꽁초를 차지하기 위해 여러명이 싸우는 장면과 남편을 잃어버리고 떠도는 '아낙네들'과 포탄 습격을 받은 듯한 건물을 나타내는 세트들을 보아 전쟁 중이나 전쟁 직후 독일 사회를 사실적으로 구현된 모습이 나타났다. 더나아가 생각하자면 우리나라의 6.25전쟁을 떠올릴 수 있었다. 여기서 우리는 문제를 한 번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과연 전쟁 후에 우리나라나 독일에서는 얼마나 많은 '마리아'와 같은 여성들이 있었을까? '그 대답은 분명히 있었을 것이다'라고 확신한 대답이 마리아의 모습과 대사를 통해서 말할 수 있다.

"이 넓은 세상에 한 사람 뿐이랴?
바다에 고기가 한마리 뿐이랴?
날 기쁘게 하는 모두를 사랑하리라..."
이는 당시 여성들은 남자하나에 매달릴 필요없이, '살기위해' 다른 남자들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마음을 대변하는 노래로 자신의 몸을 팔아가며 승진까지하는 모습을 통해 살아남는 방안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영화의 전반에는 가족끼리 화기 애애한 분위기와 전쟁 중에는 살아남기 위해 단합한 모습을 전쟁 후에는 '돈'과 '성공'의 유혹에 무너지고 마는 마리아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같은 여성으로서 마음이 아프고 그녀가 안쓰러웠다. 돈과 성공을 위해서라면 마다하지 않는 마리아의 모습을보며 독일 뿐만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여성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의문이 들었다. 전쟁을 통해 여성의 삶이 얼마나 비참하고 그 사회가 여성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도 알 수 있었다. 시대적 상황이 낳은 '마리아'라는 여인은 언제 돌아올지 모르는 남편을 배신하고 이익을 챙겨 미국 흑인인 '빌'을 선택한 파렴치한 인물로 보아야할지 혹은 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행동이므로 그녀의 행동이 올바른 것인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하는지도 의문을 가질 필요가 있다. 남편을 배신하고 부도덕한 일을 한건 맞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나쁘게만 볼 수 없다. 우리 세대들이 '페피니즘', '성차별' 등의 문제도 여전히 발생하고 있지만 유사한 문제가 60년대 70년대에도 지금보다 가옥하게 '살아남기 프로젝트'를 하는 것을 표면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위에서 말한 마리아의 모습을 통해 '자본 주의'라는 체제 자체에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는 파스빈더 감독의 날카로운 통찰을 통해 전후 독일 사회를 되돌아보는 것에만 의미를 둘뿐만아니라 영화가 자본주의 폐해의 심각성에 대해 다루고 있음을 깨닫을 수 있었다. 년도가 다를 뿐 현재 살아가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자본주의 세상이라고 입이 닳도록 말해 힘겹게 살아가다 삶을 포기하지는 않는지에 대해 생각을 해본 계기가 되었다.
이 영화를 통해 시대적 사회 상황에 맞춰 세상에 살아가는 방법에는 정답이 없다고 보지만 쉽고 편하게 생각할 것들의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임금 문제, 노사 문제, 인종 차별 등의 이러한 문제들과 같이 발생되는 '여성 문제'도 매년 새롭게 문제 인식이 되는 부분이다. 우리가 합의를 보면서 적정선을 말하지만 해결이 안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그만큼 문제 해결방안은 우리가 천천히 대범한 마음을 가지고 그것을 변화시킬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 글을 마친다.






No 제목 이름 날짜
2758 로타리클럽과 소아마비  ×1 ×1 강성준 10-29
2757 간호간병통합 서비스 확대를 기대하며  ×1 고기봉 10-28
2756 가을철 야외활동 시 야생진드기 감염 주의해야  ×1 비밀글 정정식 10-28
2755 코로나시대, 홈족을 위한 반려식물 키우기  ×1 비밀글 정정식 10-28
2754 조류독감 확산방지를 위한 철저한 방역필요  ×1 비밀글 정정식 10-28
2753 [기고] 내 권리는 내가 찾자, 부동산 특별조치법  ×1 ×1 이호동 문아람 10-28
2752 (주)제이피엠 사랑의 헌혈봉사  ×1 (주) 제이피엠 10-27
2751 기고(불법광고물 없는 청정 제주를 위해)  ×1 김윤철 10-27
2750 기고(탄소포인트 가입 신청하세요)  ×1 김윤철 10-27
2749 나부터 실천하자  ×1 ×1 김홍배 10-26
2748 [기고] 주민자치, 나와 우리를 위한 시작  ×1 김광흡 이호동주민자치위원회 사무국장 10-26
2747 집단시설에서의 코로나119 방역수칙  ×1 ×1 한봉석 10-25
2746 청소년 비만, 신토불이 밥상으로 해결해야  ×1 비밀글 임관규 10-23
2745 슬기로운 청렴 실천  ×1 제주특별자치도 경제정책과 김선희 10-21
2744 말의 품격  ×1 ×1 허성환 10-21
2743 제주 대표 안내자 제주120만덕콜센터  ×1 이지영 10-20
2742 2020 평화아카데미 서귀포지역 4강좌 개최하여 서귀포YWCA 10-16
2741 청소년 무면허 운전금지  ×1 고기봉 10-16
2740 출국금지령  ×1 문석부 10-15
2739 [독자투고] 김장철 원산지 위반, 강력한 처벌로 대처해야   ×1 비밀글 임관규 10-14
2738 코로나 블루를 이겨내자  ×1 ×1 허성환 10-13
2737 환경보전과 관광의 조화, 클리닝 투어리즘‘Cleaning Tourism’  ×1 김민석 10-12
2736 계속 살아가기위해 할 수 있는 것 비밀글 송나연 10-11
2735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취약계층 주거위생개선 프로그…  ×2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10-08
2734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공정(公正)의 기준’  ×1 한국에너지공단 제주지역본부장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