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재난과 상담사의 역할 그리고 지역 대학의 사명
2020-08-12 05:00
송재홍 (Homepage : http://)
신종 감염병의 출몰이 잦아지고 예측 불허의 자연재해와 사회적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람들의 심리적 불안이 고조되고 정신건강과 심리상담에 대한 관심도 증대하고 있다. 가끔 주변 사람들에게 심리상담을 공부하고 싶으니 적당한 대학원 프로그램을 추천해 달라는 요청을 받을 때마다 필자는 난처한 상황에 빠지곤 한다. 도내에는 그들에게 추천할 만한 대학원 과정이 딱히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심리상담은 심리적 고통이나 문제를 가진 사람에게 심리학적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전문적 활동이다. 따라서 심리상담 업무에 종사하는 조력 전문가에게는 심리학에 대한 전문지식은 물론 인간의 행복에 대한 관심과 엄격한 윤리적 실천이 요구된다. 최근 학교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상담전문가의 활동이 증대하고 있지만, 상담활동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자격과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법적ㆍ제도적 장치는 충분히 마련되고 있지 않다. 무엇보다도 상담전문가는 심리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쌓고 일정한 수련과정을 거친 후 관련 학회 또는 단체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소정의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도내에는 제대로 된 상담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고 자부할 수 있는 대학이 있는지 의심스럽다. 우리 도는 학부에 심리학과가 없는 유일한 지역이다. 특수대학원에 상담심리전공과 심리치료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A대학의 경우 심리과학을 전공하고 관련 자격증을 갖춘 교수가 전무하다. 상담심리전공에 교육학으로 상담을 전공한 교수가 단 한 명 있을 뿐, 대부분 상담심리나 심리치료와 관련 없는 전공자들로 채워져 있다. 상담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B대학의 경우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교수의 전문성은 특정 학문영역에서 축적된 전공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다년 간 체계적인 훈련과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확립되고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대학 당국은 소속 학과가 설립 취지에 맞게 운영되도록 지원하고 관리할 책무가 있으며, 그러하지 못한다면 지역사회에 대한 대학의 사명과 책임을 다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하루빨리 도내 대학의 학부에 심리학과가 설립되고 기존 대학원에도 제대로 된 교수진을 갖춘 심리상담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이 마련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No 제목 이름 날짜
2803 제주 환경보전 기여금 제도를 아시나요?  ×1 강서현 12-11
2802 올바른 공직생활로 가는 지름길 나로부터의 청렴  ×1 ×1 홍은지 12-10
2801 미세먼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1 최유라 12-09
2800 우리 마을 버스의 버스 크기를 늘려주세요  ×2 오윤정 12-09
2799 우리 일상 속 버스 정류장  ×2 강서영 12-09
2798 우리 마을의 버스 크기를 늘려주세요  ×1 오윤정 12-09
2797 코로나19, 페마스크의 발생에 따른 환경오염 해결 방안  ×1 부소연 12-08
2796 제주도를 지키기 위한 환경보호 운동이 필요합니다.  ×1 이소민 12-08
2795 애물단지가 되어버린   ×1 고동훈 12-08
2794 코로나19로 인해 일회용품 사용량 늘어나  ×1 백지원(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12-08
2793 기고.  ×1 고기봉 12-07
2792 (기고)극심해지는 지구온난화, 우리의 생활습관 성찰 및 고안  ×1 강향기나 12-04
2791 도민들의 무관심 속에 사라져가는 제주 용천수  ×1 이창석 12-03
2790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한 정책적 뒷받침 절실  ×1 허예진 12-03
2789 업사이클링, 환경 프로그램으로 개발해보자  ×1 김유미 12-02
2788 친환경=석유의 감소  ×1 김선준 12-02
2787 "나 하나'쯤이야'" 가 아닌 "나 하나'부터'"  ×1 ×1 양준호 12-01
2786 코로나 19로 인한 환경오염, 무엇이 문제인가  ×1 강연지 11-30
2785 질병치료에 좋은 민간치료법~, 영어 쉽게 정복하는 법~ 유익한 11-30
2784 제주도농아복지관, 권익옹호교육 실시  ×1 제주도농아복지관 11-27
2783 [기고] 안전한 제주시 만들기, 우리 함께 해요  ×1 ×1 이호동 김건 11-26
2782 제주도내 쓰레기로 방치된 오름들 이대로 괜찮은가  ×1 ×1 고동현 11-25
2781 민관이 함께 지켜야할 다중이용실설 비상구  ×1 ×1 남원119센터-김슬기 11-24
2780 대기오염의 심각성과 정부와 개개인의 노력  ×1 강길현(제주대학교 행정학과 11-23
2779 보조 배터리 재활용 된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1 고기봉 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