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자연사박물관 소장품의 이관을 반대한다
2020-02-21 14:16
|
|||
---|---|---|---|
김순택 (Homepage : http://)
|
|||
민속자연사박물관은 1984년 개관한 이래 제주도민들이 사랑하고 자랑하는 공립박물관이며, 국내외 인사들이 즐겨 찾는 명소이다. 또한 제주민의 생활과 역사와 문화에 대한 체험의 장소로서 그 공헌이 적지 않다. 박물관을 구성하는 3요소로 소장품, 사람, 건물을 든다. 최근 보도에 의하면 이 소중한 박물관의 자산인 민속자료 8060점을 돌문화공원관리소로 이관한다고 한다. 박물관의 운영 즉 유물의 수집·보관·전시·조사·연구하는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소장자료가 핵심적 요소이다. 소장품을 빼앗기는 것은 박물관의 존재가치의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규모로 보면 아마도 민속자연사박물관을 돌문화공원으로 장차 흡수하려는 의도가 있을 것이다. 우리 박물관이 존폐의 기로에 서있어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박물관의 생명인 소장자료의 확보 수준을 보면 관장과 큐래이터의 유능도를 짐작할 수도 있다. 아울러 박물관 자체의 학문적 수준, 전문가에 의한 기여도를 가늠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저쪽의 사람들이나 시스템은 유능하고, 이쪽의 사람들은 자료의 가치를 불고하고 반대의견도 못 내고 있는 셈이다. 그러니 소장품의 이관 계획 자체가 강약의 관계로 보인다. 약한 공공기관의 소장품을 축내고 약화시켜 몽리(蒙利)를 큰 쪽으로 돌리는 것은 올바른 도정(道政)이라 할 수 없다. 전시관 운영을 위한 자료는 공원관리소 자체에 의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다. 돌문화공원은 자체 설립목적을 살려 석기시대를 유지하고 전시품이 필요하면 자체 예산으로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바른 길이다. (김순택) |
|
[종합] 새벽 시간 제주 교차로서 차량 6대 충돌 8명 사상
제주 귀농·귀촌 열기 한 풀 꺾였다
김광수 교육감, 주민 반발에 "서귀북초 소나무 안 벤다"
국힘 제주도당 원희룡 이어 이번엔 이준석 제주 출마 요청
은퇴 급증, 신규 찔끔.. 앞날 걱정되는 여섯 번째 '해녀의 날'
헬스케어타운 녹지병원 자리에 민간병원 추진되나
"제주여상, 일반고로 전환해 달라" 총동창회 서명운동 시작
어승생정수장 물부족 해결 지하수 개발 추진 '논란'
제주도의회 '천원 아침밥' 제도화 추진 현장 행보 눈길
배우 재희 고향사랑기부 제주 홍보대사로 나선다
제주지방 구름 사이로 햇볕 보이는 주말.. 야외…
우장·미깡·도감·돌챙이… 영상으로 기록한 '서…
제주도 "다음달 행정구역 갯수·후속조치 비용도…
"유보통합 TF 아직도.." 지적에.. 도교육청·도 '추…
23일 오후 제주 강풍 순간풍속 초속 15m '주의'
"2025년 APEC 정상회의는 빛나는 제주에서"
김경학 의장 "행정체제 모든 정보 제시해 도민 …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9월 22일 제주뉴스
감사위 "제주개발공사 사회공헌사업 허위 실적 …
기초학력 보장법 시행 1년.. "지정 교사 부담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