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져가는 농촌 사회, 포용으로 상생 해법 찾아야...
2019-11-21 15:32
송남근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송남근(농협중앙회 구례교육원 교수, 010-9071-9852)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귀농·귀촌(귀어 포함) 인구는 대략 48만5천5백여 명에 이른다고 한다. 전년 대비 5%가량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귀농·귀촌에 대한 열기는 식지 않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지난해 11~12월 조사에 따르면 도시인 10명 중 3명이 은퇴 후 귀농·귀촌을 희망한다고 한다. 하지만 귀농을 원한다고 해서 선뜻 실행하기는 쉽지 않다. 귀농·귀촌에 도전했다가 실패하고 도시로 재이주하는 사례도 5~10% 정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귀농·귀촌에 실패하는 가장 큰 요인 중 자금 부족과 적정 소득원 확보의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제적 요인 못지않게 기존 토착민들과의 교류와 인간관계 형성 또한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발표자료(2016년)에 따르면 귀농·귀촌 인구의 약 45%가 기존 마을 주민들과 갈등을 겪은 경험이 있다고 한다. 선입견과 텃세, 재산권 침해 그리고 농촌문화 이해 부족 등을 그 원인으로 꼽고 있다.
텃세는 대체로 마을발전기금과 같은 경제적인 부담을 요구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과도하거나 부당한 기금의 출연을 강요하는 것이 결코 합리적인 주장이라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크게 부담이 되지 않는다면 이를 그 지역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입회비 정도라고 생각한다면 의외로 간단히 해결될 수도 있다. 어느 사회나 기득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것을 놓지 않으려는 습성이 있기 마련이다. 하물며 농촌사회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없이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내려 한다면 반드시 불상사가 생기기 마련이다. 원주민 마을과 인접하여 조성된 전원주택 단지 입주자가 마을에서 소똥 냄새가 난다며 관공서에 수차례 민원을 제기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가축분뇨뿐만 아니라 거름 냄새와 같은 전원의 향기는 물론 촘촘한 방충망 사이로 비집고 들어오는 온갖 벌레들, 그리고 대도시와 별반 다를 것도 없이 찬 바람 부는 계절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미세먼지 등을 감내할 수 없다면 전원생활은 아예 꿈도 꾸지 말아야 한다.
농촌 생활은 번호키를 누르거나 초인종을 누르고 주인의 허락 없이는 출입 불가능한 도시의 삶과는 다르다. 낮은 담장 문화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시골 생활에 적잖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시골 마을의 담장은 방범의 기능보다는 그저 경계의 표시에 불과하다. 담장이 낮은 이유는 서로 감출 것도 없을뿐더러 그 집주인이 집을 비웠을 때도 이웃들이 그 집 안을 보살펴 준다는 의미도 있다. 그러하기에 ‘그 집 숟가락이 몇 개인지도 안다’라는 말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이웃이 ‘누구 있소?’라며 불쑥 현관문을 열고 들어오더라도 그리 놀랄 일이 아니다.
지금 농촌은 심각한 고령화로 인해 붕괴 직전에 있다. 사정이 이러할진대 주민 스스로 울타리를 치고 경계하고 의심하여 텃세를 부려 새로운 구성원의 유입을 막아 그 붕괴를 재촉하고 있는 게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귀농·귀촌을 통해 지역사회의 일부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먼저 마음을 열고 고개를 숙이고 베풀 줄 안다면 텃세를 겪을 일은 확연히 줄어들 것이다. 서로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마음으로 서로 조금만 양보한다면 낯설지만 서로 어깨를 기댈 수 있는 아름다운 동행도 그리 어렵지 않으리라 믿는다.

No 제목 이름 날짜
2610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21
2609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주거복지실현사업 봄의시작 어르신 2월“생신잔치…  ×2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2-21
2608 민속자연사박물관 소장품의 이관을 반대한다  ×1 김순택 02-21
2607 기고  ×1 고기봉 02-20
2606 원도심에 부는 새로운 바람, 소통  ×1 이도1동 주민센터 고 미 령 02-18
2605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14
2604 바이러스 전성시대  ×1 허성환 02-13
2603 제주의 공공디자인 정립 왜 필요한가?   ×1 ×1 고경란 02-12
2602 2020학년도 제29기 법사학인 교육 신입생 모집  ×1 김춘삼 02-10
2601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07
2600 한림여성농업인센터 상반기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1 한림여성농업인센터 02-06
2599 진정한 교복 자율화  ×1 ×1 허성환 02-05
2598 (기고) 자동차 의무보험 가입하셨나요?  ×1 김미옥 02-04
2597 코로나 개인위생수칙  ×1 안성희 02-04
2596 (기고)노망  ×1 손계생 02-04
2595 AI(조류인플루엔자)예방 및 방역에 철저를 기해야  ×1 허성환 02-03
2594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03
2593 신효경로당 "나라사랑 태극기달기운동" 전개  ×1 신효경로당 02-03
2592 서귀포신협 제48차 조합원 정기총회  ×1 서귀포신협 02-02
2591 신효경로당 정기총회에서 급식봉사를 하여 어르신들의 고마움을 샀다..  ×2 신효경로당 02-02
2590 (기고문)제주감귤 이제는 맛(당도)과 품질로 승부해야  ×1 임영준 02-01
2589 서귀포YWCA여성새로일하기센터, 취업준비교육 실시  ×1 서귀포YWCA 01-31
2588 주거복지실현사업 “행복허게 살게마씀” 더불어 행복한 생월잔치  ×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1-31
2587 불법숙박영업, 불공정한 범죄행위이다.  ×1 ×1 경위 박종욱 01-28
2586 농촌도 경쟁력이 대세...‘1촌 1명품 브랜드화’  ×1 ×1 김성수 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