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동기고) - 나는 쓰레기 유발자였다.
2018-09-18 13:37
오라동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오라동주민센터 박창훈 주무관

나는 그동안 쓰레기 유발자였다. 줄일 수 있는 쓰레기를 줄이지 못했다. 편하게 뽑아 쓸 수 있는 물휴지, 일회용 플라스틱 컵을 쓰고, 쓰지도 않을 공짜 샘플을 받고, 과대 포장된 물건을 샀다. 우리집 옥상 창고에는 10년 동안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제품도 보관되어 있다. 소비로 행복을 얻는 것도 문제였다. 특히 홈쇼핑. 갖고 싶은 것은 끝이 없고, 가치를 잃은 것은 쓰임을 다 하기도 전에 버렸다. 지갑을 열라고 권하는 소비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하며 존재했다. 이런 나에게 <나는 쓰레기 없이 산다>의 지은이 비 존슨은 가정 내 쓰레기를 줄이는 다섯 가지 방법을 알려준다. “필요하지 않은 것은 거절하기, 필요하며 거절할 수 없는 것은 줄이기, 소비하면서 거절하거나 줄일 수 없는 것은 재사용하기, 거절하거나 재사용할 수 없는 것은 재활용하기. 그리고 나머지는 썩히기.”

이제는 ‘쓰레기를 버리면 그만’이라는 생각은 아주 지워야 한다. 내가 버린 일회용품이 분해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우유갑 5년, 종이컵 20년, 일회용 기저귀와 비닐봉지는 100년, 플라스틱, 스티로폼은 500년 이상이라고 한다. 쓰레기는 환경을 파괴하고 결국 우리 건강을 해친다. 이런 쓰레기의 악순환에 맞서 ‘쓰레기 제로’ 실천가 비 존슨은 “쓰레기 제로의 미래는 우리가 아이들에게 무엇을 남겨줄지 계획하고 무엇을 가르치느냐에 달려 있다. 그리고 우리 어른들은 선택을 내려야 한다. 아이들에게 상속재산을 남길지, 지속가능한 미래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될 지식과 기술을 남길지 선택하자”라고 말한다.
계속 쌓이는 쓰레기 앞에서 결심한다. ‘오늘의 쓰레기를 생각하며 내일의 쓰레기를 만들지 말아야지.’ 성공 확률이 1도 없을 것 같은 ‘쓰레기 제로’에 도전해보자.

요즘 미디어에는 홈쇼핑 풍년이다. 그동안은 별 생각 없이 물건을 구입하고 또 쉽게 버렸다. 버릴 때 약간 희열이 느껴지기도 했다. 그런데 얼마 전에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쓰레기섬 사진을 보고 충격을 받았고, 내가 만들어내는 플라스틱과 비닐쓰레기의 양을 보고 또 한 번 놀랐다. 내가 제주에 무슨 짓을 하고 있는 건지. 앞으로 사람들은 더 많이 소비할 것이고 그만큼 쓰레기가 더 많이 늘어날 것이다. 플라스틱이 상용화된 것이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지만 썩어서 없어지는데 500년이라는 시간이 걸린다고 하면 대략 3~400년 동안은 계속해서 플라스틱이 쌓여갈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하다보니 너무나 끔찍하다.

저자 비 존슨은 대부분의 쓰레기를 퇴비화하고 쓰레기를 최소화한다. 일년동안 배출한 쓰레기가 한 통도 안된다는데 정말 대단한 것 같다. 생각보다 두꺼웠던 이 책에는 저자가 어떤 식으로 쓰레기 배출을 최소화했는지 아주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나는 이 정도까지는 도저히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대단하다.
나는 책을 읽으며 이 모든 방법을 다 따라할 순 없으니 세 가지만 하기로 결심했다.

1. 플라스틱 사용 최소화(집안에 반찬통부터 시작해서 플라스틱이 너무 많다. 몸에도 좋지 않다고 하니 앞으로 구입하는 물건은 스텐과 유리로 제한)
2. 비닐 사용하지 않기. 사용할거면 투명비닐 사용하기(검은비닐은 숨기려 하는 본성이 있어 불법 쓰레기 배출가능성 높음)
3. 일회용품 사용하지 않기(카페에 갈 때 텀블러 챙기기. 남자인 내가 그럴수 있을지)

No 제목 이름 날짜
2216 (기고)정착주민과의 소통을 통한 열린혁신  ×1 ×1 삼양동 11-27
2215 탄소포인트제, 기후변화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1 용담1동주민센터 주무관 양대영 11-27
2214 전통시장 화재예방으로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을 보내자  ×1 ×1 동홍119센터 11-26
2213 (기고) 기초질서 지키는 내가 소확행의 시작  ×1 일도1동 11-26
2212 서귀포시진로교육지원센터 토요FunFun-‘검사’ 프로그램 운영  ×1 서귀포YWCA 11-24
2211 (글자 수 수정) 교보문고가 도서관인가요?  ×1 ×1 비밀글 강지인 11-22
2210 한시 발표회 김세웅 11-21
2209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205회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11-21
2208 ‘스마트한 시대에 맞춰 담배도 전자담배로 바꿨습니다’   ×1 김은주 11-21
2207 성산읍 행복택시 열린 시책을 아시나요.  ×1 성산읍 11-20
2206 4차 산업혁명 시대, 저작권 교육으로 한 걸음 더! 박진수 11-18
2205 교보문고가 도서관인가요?  ×1 ×1 비밀글 강지인 11-15
2204 제주YWCA - 청소년과 음악의 유쾌한 소통 "소소한 음악놀이터 캠프“ 진행  ×1 제주YWCA 11-14
2203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204회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11-14
2202 불법주차를 당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비밀글 허기회 11-14
2201 화재 대피 시 사용하세요. 무료로 드립니다.  ×1 평화안전분과위원회 11-13
2200 제주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토론회 개최  ×2 제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11-09
2199 (기고)청춘! 도시를 빛내다 - 원도심은 과거에도 현재에도 미래에도 청춘의 …  ×1 ×1 채은주 11-09
2198 『열린 혁신』의 가치로 만들어가는 살기좋은 제주  ×1 정방동 11-08
2197 제주음식문화 새로운 역사를 만들다.  ×1 문동일 11-08
2196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203회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11-07
2195 삼성꿈장학재단 배움터교육지원사업 독서 축제- 섬아이와 책이야기 “Book …  ×1 제주YWCA 11-05
2194 (기고)농업의 사회적 가치 확산, 사회적 농업!  ×1 ×1 비밀글 이성돈 11-03
2193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202회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11-01
2192 민족 자존의 고장 조천읍」세계로 가다.  ×1 조천읍 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