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8.중론(中論, Mādhyamaka-śāstra)(4회)-제4장 관오음품(觀五陰品)(9偈) : 오온(五蘊)에 대한 관찰
2022-10-20 12:42
|
|
---|---|
박규택(華谷).孝菴 公認 大法師 (Homepage : https:blog.naver.com/parkgt1459)
|
|
『중론(中論)』에 포함된 청목(靑目)의 주석은 『중송(中頌)』의 여러 주석들 중의 하나이다. 『중송(中頌)』은 용수(龍樹의 초기 작품으로서 초기 및 중기 대승불교사상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으며 그 후의 대승불교의 사상전개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대승불교의 중심을 이루는 중관사상의 요체가 이 책에 설파되어 있다. 중국 삼론종의 학승인 길장(吉藏, 549년 ~ 623년)은 『삼론현의(三論玄義)』에서 『중론』의 근본 입장[종(宗)]은 이제(二諦)이며 또한 이제는 중도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중론』의 주제는 연기라고 명시하였다. 인도 대승불교의 대표적 논서. 전 4권. 용수가 저술한 약 450의 게송과 후에 부가된 주석을 합쳐서 말한다. 원명은 『물라마디야마카카리카(Mūlamadhya-makakārikā)』 또는 『마디야미카샤스트라(Madhyamikaśāstra)』.산스크르트 원전, 티벳어역, 한역(쿠마라지바 역)이 현존한다. 인도의 중관파, 중국의 삼론종의 중심전적. 용수의 송(頌)은 간결한 게문으로 되어 있으며 27장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 논은 모두 4권으로 용수가 짓고 구마라집(Kumarajiva, 鳩摩羅什 344~413)이 다소 수정을 가해 한역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앞으로 27회에 걸처 설명하기로 한다. |
|
제주서 달아난 성범죄자 뒤늦은 국제공조수사 '논란'
제주 제2공항 기본계획 검증 요구 국토부 입장 주목
제주지역 외국인 소유 주택·토지 얼마나 되나
서로의 빈 공간 채워가는 하모니, '空' 세 번째 이야기
만 나이 시행, 해수욕장 알박기 철거 등 '6월 달라지는 법'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5월 31일 제주 뉴스
[강권일 시민기자의 눈] 제주 등산문화를 선도할 산악인 14명…
제주 임진희 KLPGA 시즌 2승 도전장 던졌다
제주 강상현 첫 출전 세계선수권 금메달
[제주포럼] "오염수 먹어 가며 물질해야 하나.. 기가 막힐 노…
한때 잘나가던 제주 주택시장 침체 국면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6월 1일 제주 뉴스
비양도 도항선 충돌 사고… 올바른 대응 방법은?
바뀐 코로나 격리 지침... 제주 직장인들 벌써부…
제주·완도 사수도 관할권 분쟁 다시 헌법재판소…
"담배 대신 구해줄게… 3000원만 줘" 20대 남성 2명…
강창용 제주도체조협회장 아시아선수권 선수단…
불법체류 들킬까 봐 줄행랑… 20대 인도네시아인…
[종합] 1년 반 지켜보다 방치 차량 강제 처분 나…
제주 여성 1인 사업장 안심벨 사업 확대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