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마을 가치 찾기] (5)도시가 집적돼 삶 편한 연동

[[제주마을 가치 찾기] (5)도시가 집적돼 삶 편한 연동
제주 신도심 40년 역사 ‘신제주’… 도시화 산물
  • 입력 : 2020. 11.18(수) 00:00
  • 조상윤 기자 sycho@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400여년 전 설촌… 1979년부터 도시 변모
행정·상권 중심 부상하고 아파트단지 밀집
남조순·광이오름 기댄 한라수목원 ‘명성’
만성적 교통문제·환경시설 등은 해결과제


연동은 제주시에서 남서쪽으로 3㎞ 지점에 위치한 지역으로 동쪽으로 오라동, 서쪽으로 노형동과 인접하고 남쪽으로 한라산국립공원에 닿아있다. 그래서 지형이 길쭉하다. 연동에는 도청, 교육청, 경찰청 등의 행정기관은 물론 각종 상업시설과 아파트들이 밀집해 있다. 그리고 이 지역의 남쪽 끝으로 한라산 어승생 유원지 인근의 한울누리공원이 있다. 한울누리공원은 산을 뒤로하고 멀리 도시를 바라볼 수 있는 전망에 위치한 장례시설이다. 그러고 보면 연동은 인간의 생애를 다 담아낼 수 있는 곳이다.

도심 곳곳의 작은 휴식공간인 근린공원.

아파트가 밀집한 연동 신시가지.

과거 신제주는 지금의 연동지역을 일컫는 말이었다. 제주시의 기능을 일부 분산해 개발된 새로운 제주라 해 신제주라 불렀다. 지금은 노형동이 개발돼 도시의 기능을 분산해 맡고 있다. 1970년대까지도 이 지역은 농촌이었다. 이후 1977년 신도시개발계획에 세워지며 1979년부터 신시가지 건설이 시작됐다. 일주도로 이외의 도로는 없던 곳에 삼무로, 연동로, 신대로, 신광로 등의 도로가 생기고 각종 행정기관과 쇼핑센터, 호텔 등이 들어서며 행정과 상권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이후 연동 신시가지 개발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학교가 설립되며 주거 최적화 공간이 됐다. 최근에는 교육하기 좋은 최고의 선호지역으로 각광받고 있다.

연동의 설촌 유래는 약 40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시민들의 쉼터인 한라수목원.

연동 서남쪽 속칭 섯동네의 '산물낭어영'과 '고당의 집터'라 불리는 곳이 최초의 주거지역으로 추정하고 있다. 초창기 마을 이름은 '잇골' 혹은 '연골'이라 했다. 이후 '연동촌', '연동'이라 했다. 제주목 중면 연동리에서 1955년 제주읍 연동리로 그리고 1962년 오라동에 편입됐다가 1979년 다시 분리돼 지금에 이른다. 1918년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지도에 의하면 베두리, 구아랑, 도호리, 동산이, 주슴밧, 난다리, 섯동네, 삼동이 등의 자연마을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연동은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이지만 자연과 호흡하기에도 좋은 곳이다. 남조순오름과 광이오름에 기대어 조성된 한라수목원이 인접해 있기 때문이다. 1993년 약 15만㎡의 땅에 5만여 본의 식물을 식재해 자연학습장을 개장했는데 삼림욕과 산책을 하기 위한 도시민들의 쉼터로 사랑받고 있다. 최근에는 관광시설과 야시장 등이 접목되면서 관광객들이 찾는 주요 관광지로도 명성을 얻고 있다. 그 외에도 베두리 오름에 조성된 삼무공원과 신제주 로터리의 삼다공원 그리고 지역마다 조성된 근린공원 등이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흘천은 연동을 가로지르는 물길이다. 남조순오름에서 시작해 신시가지를 동서로 가르며 제원아파트 뒤를 지나 도두동 해안으로 흘러간다. 천혜의 환경이 선사한 도시 내 수변공간이다.

연동 신시가지로 들어서는 사거리에 '제주 4·19 민주혁명 기념탑'이 있다. 바쁜 도시민들이 잊어버리고 사는 역사에는 과거의 희생이 있었음을 기억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무심히 지나던 길에서 역사를 만나게 하는 공간이다. 차가 정체돼 멈춰있는 순간 한번쯤 고개를 돌려 이 탑을 바라보며 민주혁명의 정신을 기릴 수 있으면 좋겠다.

도시를 가로지르는 홀천

제주 4·19 민주혁명기념탑

그러나 급격한 도시화는 불편함을 동반한다. 만성적으로 시달리는 주차공간의 확보와 교통혼잡이다. 단위면적당 집적된 인구가 많은 관계로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문제들이었다. 반듯반듯 구획된 도로에서 알 수 있듯 연동은 계획된 도시였음에도 불구하고 교통은 물론 시민들의 보행로 확보에도 미흡했다. 빠르게 개발되는 과정에서 빚어진 문제들이다. 주차 빌딩 등의 확보와 차량 일방통행로 설치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노력중이다. 또한 오폐수분리 시설이 아직 안돼 있다. 이 또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더불어 개발 초창기에 지어진 아파트들에 대한 재개발 요구와 문화시설의 확충이 요구되고 있다. 웰컴센터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등의 시설이 있지만 보다 접근성이 편리한 대중시설이 보강되길 원한다. 최근 국비를 지원받아 서부지역 종합 체육시설이 예정되고 있는데 지역민들의 불편이 다소 해소될 수 있을 것 같다.

연동은 모든 게 다 갖춰진 곳이다. 이제 이곳을 더욱 윤택하게 하기 위해서는 거대한 개발보다는 사람이 따뜻하게 살 수 있는 정성어린 손길이 필요하다.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등 모두가 편리하게 들고날 수 있는 도시 환경을 조성해 명품도시 연동으로 거듭날 수 있길 바란다.









[인터뷰]


"문화·생활체육 등 사람중심 시설 필요"
강철남(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수십 년을 연동에 살면서 급속한 도시화를 목격했다. 과거에는 집에서 한라산과 바다를 조망할 수 있었으나 지금은 건물들이 들어선 탓에 한라산을 볼 수 없다. 빽빽한 건물들 사이에서 점점 삭막해 질 수 있다. 그래서 지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람중심의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주차 빌딩 등의 주차시설을 확충하고 문화와 생활체육이 가능한 복합시설이 필요하다. 다행히 관련 예산이 확보돼 실행될 예정이다. 그리고 어린이 놀이터와 작은 공원 등의 시설에 꼬마도서관과 같은 작은 도서관을 조성해 일상에서 쉽고 편하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있다. 신제주로터리에 있는 삼다공원의 경우 좋은 문화공연장이 돼 왔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예정된 공연들이 취소돼 안타깝지만 내년쯤 사정이 좋아지면 길거리 공연을 재개할 것이다. 이는 지역민들을 위한 문화향유의 의미도 있지만 지역의 소규모 공연단체들에게 공연무대를 더 폭넓게 만들어 주는 기회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청소년들을 위한 공간의 확충과 안전한 거리환경 조성을 위한 CCTV 시설보강과 LED 가로등 개선 작업이 지속되고 있다.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들도 꾸준히 진행돼야 한다. 번잡한 도시일수록 작지만 소중한 가치를 지키는 일에 관심을 갖고 살필 것이다.



"노인대학·복합문화공간 있었으면…"
조행수(연동분회 노인회장)


78년부터 연동에 살기 시작했다. 연동개발 당시 들어온 1세대인 셈이다. 그때는 도청이 들어서기 전인데 그 지역을 중심으로 일반주택들이 지어졌다. 비둘기집이라고 하는 형태의 집을 지으라고 규정했다. 그리고 울타리의 경계를 도로에서 1m 이상 두게 하고 거기에 화단을 조성하도록 했다. 고도도 4층 이상은 안 된다고 제한을 했었다. 당시의 집들이 일부 남아 있어 볼 수 있다.

그때는 연동지역 대부분이 밭이었다. 자연부락이 일부 있었으나 대부분은 허허벌판 같은 곳이었다. 최초로 제원아파트가 들어섰는데 그 일대 역시 아무것도 없었다. 이후 도청 등 관광서가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발전 폭이 커졌다.

관공서와 병원이 가까이 있고 교통이 편리해 살기 편하다. 하지만 도로가 혼잡한 편이다. 교통흐름을 위한 일방통행로 개설을 두고 갈등이 있다.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 그리고 연동지역 노인회원이 1000명이다. 그분들을 위한 노인대학이 있었으면 좋겠다. 또한 모두가 같이 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 필요하다. 세대를 분리하지 말고 어울리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그래야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글·사진 조미영(여행작가)>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46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