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주 과잉전력 해법, 역전송만으론 안된다

[사설] 제주 과잉전력 해법, 역전송만으론 안된다
  • 입력 : 2021. 04.20(화) 00:00
  • 한라일보 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가 전력을 육지부서 받기만 하다 사상 처음 남는 전력을 내보내는 역전송 시대를 맞았다. 도내 풍력·태양광발전에 의한 과잉생산 탓이지만 과잉전력 해법에 역전송만으로 안된다는 지적이다. 제주가 화력발전에서 신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전환에 맞춰 액화천연가스(LNG), 중유 등 필수운전 발전기 운영을 더 줄여 재생에너지 출력을 늘려야 할 필요성도 크기 때문이다. 과잉전력 해법이 보다 근본적으로 이뤄져야 제주의 신재생에너지산업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

한전거래소는 지난 17일 제주~해남을 잇는 해저케이블을 통해 최초로 시간당 70㎿h의 전력을 역전송했다. 제주 전력의 역전송은 올 상반기 7만㎾를 계획중인데 이어 내년말까지 완도 변환소를 통해 20만㎾ 이상 이뤄질 예정이다. 그만큼 도내 신재생에너지 과잉생산으로 인해 발전을 중단하는 출력제한이 심각한 상황이다. 그간 풍력발전 출력제한이 2018년 16회, 2019년 46회, 2020년 77회로 해마다 급증했고,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도 처음 중단되는 사태까지 맞았다.

문제는 과잉전력 해법이 역전송만으론 충분치 않다는데 있다. 여전히 역전송 전력량이 도내 급증세의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을 감당할지 미지수이고, 역전송도 전력을 받아야 하는 육지부 입장에선 과부하 발생 우려 때문에 언제까지 가능할 지 예측하기 어렵다.

정부와 도가 계통안정화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와 신재생에너지 총량제 도입 등을 서둘러야 할 이유다. 기후위기·미세먼지 대응과 에너지 전환시대에 맞춰 필수운전 발전기에 해당하는 액화천연가스(LNG), 중유발전 최소화도 대폭 강화해야 한다.

모자라도, 남아도 걱정인 전력은 한 순간의 정전을 막으면서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모두가 더 많은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174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