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6년 만에 나온 4·3 추가진상보고서

[사설] 16년 만에 나온 4·3 추가진상보고서
  • 입력 : 2020. 03.18(수) 00:00
  • 편집부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국무총리실 산하 제주4·3위원회의 '4·3조사보고서' 이후 16년만에 '제주4·3사건 추가진상조사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제주4·3평화재단에서 발간한 이번 보고서는 당시 마을별 전수조사를 통한 피해실태와 집단학살사건, 수형인 행방불명 및 예비검속 피해실태, 행불 희생자 유해발굴 등을 담았습니다.

주목되는 사실은 한 장소에서 50명 이상 피해를 낸 집단학살사건이 무려 26건이라는 사실입니다. 초토화작전 시기인 1948년 11월부터 이듬해 2월사이 정방폭포 일대, 함덕백사장·서우봉, 북촌초등교, 성산 터진목, 표선백사장, 도두리 동박곶홈 등 곳곳에서 집단학살이 자행된 겁니다.

또 수형인 행방불명자 2261명에 대한 피해실태도 규명됐습니다. 경인지역과 호남지역 형무소 수형인 피해실태 중 서대문·마포·인천형무소 4·3수형인의 경우 한국전쟁 발발로 본인 의지와 관계없이 북한 인민군으로 전장에 투입되거나 월북된 기구한 운명과 사연들이 구체적으로 나왔습니다.

4·3위원회에서 작년 말까지 확정한 희생자 1만4442명을 기존의 본적지 중심에서 당시 거주지 중심으로 재분류함으로써 피해실태 오류 최소화에도 역점을 뒀습니다.

4·3평화재단 측은 "2003년 정부 보고서가 진상규명을 위한 총론적 성격이라면, 이번 보고서는 피해유형을 나눠 전체 피해를 조망한 게 특징"이라는 의미를 달았습니다.

4·3사건 진상을 캐는 작업은 아직도 쌓여 있습니다. 여전히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미신고·미확인 희생자 추가 조사를 비롯해 미국의 역할과 책임문제, 재외동포 피해실태 등을 규명하는 작업이 가속돼야 합니다. 정치권도 2년 넘게 국회 계류 중인 희생자 배·보상 등을 담은 4·3특별법개정안의 조속한 처리로 4·3의 완전한 해결에 힘을 모아야 합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26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