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경제 2016년 정점...3년 연속 내리막 길

제주경제 2016년 정점...3년 연속 내리막 길
[공동기획 Ⅲ 아젠다 20] ③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대규모 개발사업 중단 건설업 등의 부진 장기화 원인
청년들, 일자리 부족· 고용불안, 저임금으로 대도시행
  • 입력 : 2020. 02.17(월) 16:34
  • 고대로기자 bigroad@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경제가 지난 2016년 정점을 찍은후 3년 연속 내리막 길을 걷고 있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제주도 지역내 총생산(GRDP)성장률은 2014년 6.9%에서 2015년 7.4%, 2016년 8.0%상승세를 이어가며 정점을 찍은후 2017년부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제주도 지역내 총생산(GRDP)성장률은 -1.7%로 전년도 4.6%에 비해 크게 하락했다.

 1인당 GRDP도 2017년 3100만원에서 2018년엔 3051만원으로 전라북도 2800만원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제주연구원은 지난해 GRDP성장률이 0.3%, 올해는 0.8% 내외의 경제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올해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올해 GRDP는 0.8%보다 더 낮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처럼 경기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것은 예래휴양형주거단지, 오라관광단지 조성 사업등 대규모 개발사업 중단으로 인하 건설업 등의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고 여기에다 농림어업 등 산업전반에 걸쳐 불황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는 사드배치에 따른 한한령 완화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올해 기대했던 중국인 단체 관광객 유치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중국인·내국인 관광객이 감소할 경우 제주관광산업은 역대 최고의 치명타를 입게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제주지역은 제조업이 4%에 불과하지만 관광· 숙박 및 음식점 등 서비스업종 비중은 80%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관광객 감소는 도민들의 생존권과 직결돼 있다.

 제주도는 올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 해 ▷민생경제 ▷1차산업 ▷관광 ▷미래산업 ▷도시건설 등 5대 분야 총 56개 과제에 7920억원을 투자하고 코로나19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본 도내 중소기업의 경영안정을 위해 특별경영안정지원자금 융자를 지원할 예정이나 경기부양에는 한계가 예상되고 있다.

 ▷일자리 실태=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고용불안, 낮은 임금은 제주청년들을 대도시로 향하게 만들고 있다.

 제주연구원의 정책연구서에 따르면 제주지역 사업체는 2017년 기준 총 6만63개로 종사자수 26만2747명이다. 이중 5인 미만 소규모영세 사업체는 4만9200개로 81.9%, 50인 미만이 17.3%이다. 숙박·음식업이 전체의 28.3%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도소매업 23.9%, 운수업 9.7%의 순으로 서비스업 비중이 가장 높다. 또 2019년 상반기 기준 전체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의 비중은 65.2%로 전국의 75.3%에 비해 10.1%p 낮다. 반면에 자영업자의 비중은 29.0%로 전국(20.9%)보다 8.1%p 높은 수준이다. 제주지역 임금수준은 상용직 기준으로 월평균 임금수준은 228만원으로 강원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제주지역 실업율은 2016년 2.2%를 기록한후 2017년 1.9%, 2018년 2.0%를 기록했다. 고용률도 2017년 70.9%에서 2018년엔 68.4%로 하락했다.

 이에 제주도는 2018년부터 오는 2022년까지 공부문 정규직 청년 일자리 1만명 창출을 약속했다. 제주도가 제시한 청년 일자리 1만명 창출 계획을 보면 공무원 2500명, 지방공기업 및 출자출연기관 2500명 ,공공·사회서비스 부문 5000명이다. 이같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재원 조달은 개발이익 도민환원, 관광수익, 공공자원 사용수익, 신사업개척, 도민펀드 조성, 카지노 독점적 면허사업 수익 도민환원 등을 통해 충당하기로 했다. 하지만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재원 조달은 한계를 보이고 있고 공공부문이 선도하는 신규 일자리 창출 등도 목표치를 크게 밑돌고 있다.

 제주경제 활성화와 일자리창출을 위해서는 산업다변화와 다른지방과 차별화된 금융·세제 지원 강화를 통한 유망기업유치,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개선이 뒷받침 돼야 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67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