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미군 개입 킬링필드 변모..진상규명 필요"

"제주4·3 미군 개입 킬링필드 변모..진상규명 필요"
제주도의회 오는 6월 'UN 4·3심포지엄' 계기
미국·일본·러시아 사료 등 체계적 수집 촉구
  • 입력 : 2019. 04.09(화) 13:28
  • 표성준기자 sjpyo@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1948년 5월 15일, 한국경비대 미군자문관 Leach 대위가 진압계획을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주도의회 제공

제주 4·3사건 당시 미군의 개입 정황이 드러난 다양한 자료와 증언을 분석하고 향후 이에 대한 진상규명이 필요성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정책연구실은 8일'4·3사건 미군이 얼마나 개입했나?'라는 제목으로 정보소식지 '정책차롱'을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미군이 제주도를 거대한 킬링필드(killing field)로 바꾸어 놓는데 직·간접적으로 관여하였다"고 언급한 미국의 사회학자 조지 카치아피카(George Katsiaficas)의 말을 인용하면서 제주 4·3 당시 미군 측의 개입에 관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보고서는 4·3 당시 제주도에서 미군의 개입 사례의 유형을 ▷주한 미군사령관과 고문관들이 한국경찰과 경비대(대한민국육군 전신)에게 직접 명령을 하달 ▷제주의 미군 고문단들이 실제 공중과 육상작전을 관리 및 감독 ▷제주도에 주둔한 미군 부대가 우리 측 진압군에게 군수지원 및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강경진압을 지휘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4·3 당시 제주도에 미군 주둔 병력에 관한 논란이 있지만 보고서는 프랑스 파리7대학의 버트랜드 로에너(Bertrand M. Roehner) 교수의 논문과 당시 미군 측의 비밀문건, '주한미군사' 사료(HUSAFIK), 미군증언 등을 토대로 1947년과 1948년에 최소 100명(중대 규모)에서 최대 1000명(연대규모)까지 주둔한 것으로 추정했다. 당시 한국전 참전미군인 조셉 그로스만(Mr. Joseph W. Grossman)은 "1947년 봄에 6주 동안 20보병연대 제2대대의 500~1000명의 미군 병력이 제주도로 파견됐다"고 증언했다.

 도의회 정책연구실에 따르면 실제 당시 미군의 '화재 등 사건 보고서(Reports of fires and other accidents)'등에는 미군정 장교의 부양가족 집이 화재로 파손되거나 군정 내 군부대내의 매점(PX) 건물 파괴사건 등의 사례가 있어 그 진술의 신빙성을 더해 주고 있다. 그러나 미군의 개입 형태와 정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어 당시 제주도에 주둔했던 미군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한 규명이 필요한 상황이다.

 정책연구실은 "현재까지 밝혀진 미군의 지휘책임과 함께 특별히 미군병력이 어느 정도의 규모로 제주도에 주둔했는지를 규명하는 것은 미국의 개입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또 다른 척도가 되므로 반드시 이에 대한 명확하고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민구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달 파비앙 살비올리(Fabian Salvioli) UN(국제연합) 특별보고관이 제주 4·3사건 해결을 위한 지원을 약속한 만큼 오는 6월 UN에서 개최되는'UN 4·3 심포지엄'을 계기로 향후 미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러시아에 있는 다양한 역사적 사료들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 수집을 통해 제주 4·3 당시 미군의 개입정도를 명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41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