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분뇨 자원화해도 뿌릴 데도 없는데.."

"축산분뇨 자원화해도 뿌릴 데도 없는데.."
축산농가들 처리시설·장소 마련 못해 어려움 호소
제주도, 양돈분뇨 정화 고도화·경종농업 활용 모색
  • 입력 : 2019. 01.21(월) 18:08
  • 표성준기자 sjpyo@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도가 축산분뇨를 액비로 만들기 위한 공공자원시설을 증설할 계획이지만 정작 축산농가들은 살포지역을 찾지 못해 액비 자원화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제주지역 양돈장 악취민원은 2014년 306건에서 2015년 573건, 2016년 666건, 2017년 722건으로 급증해 지역주민과의 갈등이 심화돼왔다. 특히 2017년 7월 제주시 한림읍 지역에서는 지난 2013년부터 4년간 돼지 분뇨 수천t을 중산간지역에 무단 배출해 지하수를 오염시킨 축산업자 등이 적발돼 축산분뇨 처리 문제의 심각성을 일깨웠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2018년 3월 양돈사육 밀집지역에 전국 최초로 악취관리지역 59개소(56만㎡)를 지정하고, 9월에는 악취저감 컨트롤타워인 제주악취관리센터를 개소했다. 그러나 현재 1일 발생 양돈분뇨(2844t) 중 1520t만 공공처리 또는 공동자원화하는 반면 나머지 1324t은 농가에서 부숙되지 않은 액비를 살포하는 등 자체 처리해 환경오염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더구나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위원장 고용호)가 21일 마련한 농정간담회에서 축협과 양돈농협 관계자들은 분뇨처리 비용이 많이 소요돼 현재 ㎏당 4300~4500원의 돈가로는 인건비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송봉섭 서귀포시축산업협동조합장은 "축산분뇨 공공처리시설을 확대하거나 처리기준을 마련해 목장뿐만 아니라 경종농업에도 살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줘야 한다"며 "밭농업지역에선 발목까지 덮을 만큼 화학비료를 뿌리는 상황이기 때문에 적정 면적당 액비 살포 기준을 마련해 지도 감독하면 화학비료 대체 자원으로 활용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성진 제주양돈농협조합장도 "공동자원화시설과 공공처리시설이 있지만 제주 전역이 개발되면서 날이 갈수록 액비 살포 가능지역이 축소되고 있다"며 "방류할지, 하수처리장으로 연결해서 처리할지, 액비로 살포할지 여부를 양돈산업의 장기적 측면에서 검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이우철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각 농가마다 저장탱크 등 기준이 있기 때문에 가축분뇨를 정화해서 액비를 만들어 살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양돈분뇨 정화 기술이 최근 고도화되고 있으므로 이를 포함해서 혁신적인 방안을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송승운 제주도 농업기술원장도 "액비의 경종농업 활용 방안과 관련해 4~5가지 작물의 액비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올해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323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