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아현'같은 D급 통신시설 제주에도 6곳

'KT 아현'같은 D급 통신시설 제주에도 6곳
사업자 자체 점검에 맡겨…A~C급은 정부가 전수 점검
거미줄 케이블에 백업 시스템 미비해 사고 나면 큰 피해
  • 입력 : 2018. 11.28(수) 10:33
  • 국회=부미현 기자 bu8385@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지난 24일 화재가 발생한 KT 아현지사와 같이 D급으로 분류된 통신시설이 제주에는 6곳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가 아닌 지방의 경우 재난 발생 시 동원 가능한 예비자원이 부족하고 안전대책이 제대로 수립돼 있지 않아 사고 수습이 더 어려울 수 있는 만큼 정부의 관리·감독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지역별 D급 통신시설 현황'에 따르면 경상도 141곳, 경기도 132곳, 전라도 148곳, 제주도 6곳, 강원도 64곳, 충청도 56곳 등 547곳의 D급 시설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별·광역시의 경우 서울 90곳, 부산 60곳, 대전 17곳, 세종 1곳, 광주 37곳, 대구 24곳, 인천 28곳, 울산 31곳, 세종시에 288곳으로 나타났다.

통신사별로는 KT가 354곳, LG유플러스가 187곳, SK텔레콤이 131곳의 D급 시설을 각각 보유 중이다. KT는 354곳 가운데 7개 특별·광역시와 세종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68.6%인 243곳이 집중돼 있다.

정부가 통신장애 시 피해 범위가 넓다고 판단한 A~C급 통신시설 80곳은 정부에서 전수점검을 하고 있다. 하지만 D급 시설 835곳은 사업자가 자체 점검해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D급으로 분류된 곳은 백업 시스템이나 우회로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의 경우 지하에 각종 케이블이 얽히고 설켜 위험성이 더 크다는 지적도 있다.

서울시의 경우 최근 각종 케이블 매설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지하 지도'를 만들었지만 다른 지역은 이조차도 구비되지 않아 사고 시 체계적인 대응이 어렵다.

설훈 의원은 "통신 예비자원이 풍부한 서울의 경우 사고 발생 시 복구가 빠르게 가능하지만 지방은 그렇지 않다"면서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협조해 지방에 있는 통신시설 등급을 재분류하고 사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54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