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희범 제주시장은 26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이같은 공공건축물을 제로에너지하우스로 전환해 나가는 계획을 밝혔다.
2016년 지역에너지 통계연보에 의하면 제주의 경우 31%의 에너지가 건물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도시화가 될수록 그 수치가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따라 제주시는 우선 패시브하우스로 공공건물을 설계하고, 연차적으로 태양광패널과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추가 설치하여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제로에너지하우스로 건축한다는 구상이다.
패시브하우스는 건물의 단열, 기밀 및 형태를 최대한 활용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한 집을 말한다. 또한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을 뜻한다.
이와관련 제주시는 공공건물을 제로에너지하우스로 만들기 위해 기존의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에 의한 관리기준보다 강화한 청사관리 자체지침도 마련해나갈 방침이다. 이와함께 민간 자문 및 표준설계 지원 등을 통해 제로에너지하우스를 민간영역으로까지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