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건축경기 침체로 건설자재의 반입이 줄었지만 인구 증가 영향으로 자동차와 생활용품의 반입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올해 7월 말 기준 도내 항만을 통해 이뤄진 물동량은 1148만5000t으로 지난해 동기 1077만1000t보다 71만4000t, 6.6% 증가했다고 12일 밝혔다.
품목별 증감 추세를 보면 유류 840t으로 4.5%, 비료 64t으로 14.6%, 기타 8293t으로 27.7%씩 전년 동기비 증가했다. 특히 인구가 증가하면서 차량과 차량부품, 플라스틱 등 생활용품이 포함된 기타 부분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대출규제 등의 장벽이 심해지면서 아파트 신축이 줄어드는 등 건축경기 침체로 건설자재인 모래가 985t으로 24.8%, 시멘트가 627t으로 23.1%, 자갈 452t으로 40.7%씩 각각 감소했다. 월동무와 감귤 등의 생산량 부진으로 반출이 줄어든 농산물 물동량도 총 235t으로 35.6%의 감소세를 보였다.
한편 항만별로는 제주항의 경우 유류와 기타품목 등의 반출입이 활발하게 이뤄져 15.2% 증가한 반면, 서귀포항 22.8%, 성산포항 20.6%, 한림항 11.3%, 화순항 10.7%, 애월항 2.4%의 감소세를 보였다.
김선우 제주도 해운항만물류과장은 "지난해 초부터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모래, 자갈, 시멘트 등 건설자재 반입이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육지부 반출도 저조한 상황"이라며 "당분간 주택건설 등 건설경기가 살아나지 않을 경우 육지부로부터 건설자재 반입 저조 등으로 큰 폭의 물동량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