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1년만에 보완 들어간 하수처리 기본계획

[사설]1년만에 보완 들어간 하수처리 기본계획
  • 입력 : 2017. 11.02(목) 00:00
  • 이윤형 기자 yhlee@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도가 지난 해 환경부 승인을 받은 20년 단위의 광역하수도기본정비계획을 1년 만에 재손질하기로 했다. 인구와 관광객 증가 등 제주지역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다. 이는 역으로 1년 전 용역을 진행하면서 인구 등 기본적인 정보마저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제주도로서는 한치 앞을 못보는 행정이라는 비판을 받아도 할 말이 없게 됐다. 최근 도두하수처리장 현대화 사업을 놓고 갈팡질팡 했던 제주도로서는 재차 신뢰성에 상처를 입게 됐다. 그럼에도 광역하수도 정비는 늦출 수 없는 현안이다.

인구와 관광객 증가 및 개발행위 급증 등으로 하수처리는 시급한 현안중의 하나로 급부상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25억 원을 들여 지난 해 9월 광역하수도 기본정비계획을 수립 환경부 승인을 받았다. 골자는 오는 2035년까지 단계적으로 제주지역 8개 하수처리장의 1일 최대 처리용량을 12만2500t 늘리는 것이다. 그런데 제주도는 지난 31일 이달 내에 12억원을 들여 기본정비계획 변경을 위한 용역을 착수한다고 밝혔다.

제주도가 20년 단위 계획을 수립한지 1년 만에 재손질에 들어가는 것은 하루가 다르게 하수처리 문제가 심각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하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선 환경부가 승인한 양보다 9만6000t 많은 23만1000t 규모로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지난 3월 도시계획기본조례가 개정되면서 읍면지역을 중심으로 공공하수관로 연결 의무 대상이 늘어났다. 하지만 정작 인프라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도내 하수처리구역은 189.78㎢로 제주 전체면적의 10.3%에 불과하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해도 1년만에 다시 보완용역에 들어가는 것에 대해 용역 남발과 혈세 낭비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이를 불식시키려면 제주도가 미래예측치를 제대로 반영한 보다 완성도 높은 치밀한 계획을 내놓을 수 있어야 한다. 환경부의 승인을 이끌어내는 것도 과제다. 광역하수도 정비에는 막대한 국비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재원확보에도 차질이 없도록 정부 설득논리를 제시, 실현가능한 계획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주도 하수도 정책이 표류하는 일이 없도록 심기일전하지 않으면 안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3472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