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체제와 제주4·3' 직접적 연관성 두고 이견

'냉전 체제와 제주4·3' 직접적 연관성 두고 이견
제주3·1사건 제7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 입력 : 2017. 09.22(금) 16:35
  • 손정경기자 jungkson@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4·3연구소 주최로 22일 제주시 아스타호텔에서 열린 제주3·1사건 제7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사진=손정경기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등장한 냉전 체제와 제주 4·3사건의 직접적 연관성을 두고 학자들 간의 의견이 엇갈렸다.

제주4·3연구소 주최로 22일 제주시 아스타호텔에서 열린 제주3·1사건 제7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자로 참석한 허호준 박사(한겨레신문)는 "제주 4·3시기 수많은 제주도민의 죽음은 냉전체제 형성기 미국의 반공정책과 연관돼 있다"며 냉전체제와 4·3사건과의 직접적 연관성을 거론했다.

허 박사는 "1947년 미국 트루먼 대통령이 선언한 트루먼 독트린(소련 세력 팽창에 대항하기 위해 수립된 봉쇄 정책의 일환)은 냉전체제 형성의 공식적 선언이었으며 냉전정책의 핵심은 반공정책이었다"며 "한국이 공산주의에 맞서는 시험무대고 공산 진영의 확산과 지배를 저지하는 횃불이 될 것이라는 트루먼의 발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국의 대한정책은 찬미 반공 정부 수립을 통해 소련을 봉쇄하는 미국의 아시아 정책의 일환이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전시가 아닌 상황에서 1만5000여명이 '살육'된 것은 극히 드문 사례라고 강조하며 "미국이 이 '살육'을 정당화할 수 있었던 것은 '공산주의자'라는 주장 이외에는 찾을 수 없었다. 미국은 개입을 통해 제주도에서 '공산주의자'들을 저지하고 소련의 팽창을 봉쇄했다고 믿었던 것으로 해석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문경수 일본 리츠메이칸대학교 교수는 냉전체제와 4·3사건과의 직접적 연관성을 부정했다.

문 교수는 "냉전사 연구자의 대부분은 동아시아에서의 냉전의 시작을 1949년 10월 중국혁명으로 보고 있다"며 "그런 시각으로 볼 때 1948년의 제주도에 대한 억압 정책도 단순한 국제 냉전의 파급으로는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오히려 미군은 냉전 상황의 동북아로의 파급은 피하고자 했다는 입장이었다고 주장했다. 문 교수는 "미국은 미·소 양군의 철퇴를 수용하고 이를 전제로 한국에서 안정적인 친미정권을 확보하려 했다"며 "미국이 제주도민을 이에 대한 반항 세력이나 '이단분자'로 보고 철저히 제거하려 했던 것도 국제냉전보다도 지극히 지정학적으로 한정된 문맥에서 강행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제주3·1사건은 1947년 제28주년 3·1절 제주도 기념대회에서 경찰이 비무장 시민들에 발포해 사상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제주4·3사건의 도화선이 된 사건이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372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