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제한급수 35일만 해제… 근본 대책 세우라

[사설]제한급수 35일만 해제… 근본 대책 세우라
  • 입력 : 2017. 09.13(수) 00:00
  • 이윤형 기자 yhlee@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도내 중산간 마을을 대상으로 실시됐던 제한급수가 35일 만에 해제됐다. 애월읍과 한림읍 일대 20개 마을 7000여 주민들은 올 여름 기록적인 폭염에다 제한급수로 이중삼중의 고통에 시달렸다. 제주도가 농업용수 등 타 용도 지하수를 활용한 급수대책 방안을 마련한 것은 장기간 계속되는 주민 고통을 더 이상 외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농업용수와 조사관측공 등을 활용해 일일 물 부족분 4500t을 대체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그렇지만 제주도의 대책은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에 불과하다. 보다 근본적으로 물 관리 정책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2013년 중산간 지역의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500억 원 가까이 사업비를 들여 어승생 제2수원지를 완공했다. 하지만 제2수원지는 물 부족 해결에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했다. 준공된 지 2년만인 2015년에 부실공사로 누수가 생기는 문제가 나타난데다, 하루 유입량도 2000t에 불과한 실정이다. 애초부터 설계 잘못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그런데 제주도는 잘못된 행정행위는 나몰라라 하면서 2019년까지 5000t 이상의 추가 취수원을 개발하겠다고 하고 있다. 계획의 타당성 여부를 떠나 제주도는 먼저 잘못된 부분에 대한 원인규명과 책임을 지려는 자세를 보여줘야 한다. 무조건 취수원만 개발하면 된다는 식의 행정은 우려스럽다.

물 부족 문제의 해법은 다각도로 접근하지 않으면 안된다. 무엇보다 전국 최고 수준인 누수율을 줄여나가는 일이 시급하다. '2014년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제주지역 누수율은 43.0%에 이른다. 연간 생산 수돗물의 절반 정도가 땅 속으로 버려진다는 얘기다. 전국 평균 누수율(11.1%)보다 4배나 높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누수율만 개선돼도 물 부족 문제는 상당부분 걱정을 덜 수 있다. 누수율 개선을 물 관리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고 노후설비를 개선해 나가는 일이 시급한 이유다. 게다가 주민들은 물 부족에 시달리는 데 공공기관은 펑펑 쓰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은 문제다. 이는 절수 관련 조례 등이 미흡한데도 원인이 있다. 물 관리 정책에 대한 반성과 고민없이 취수원 개발에만 매달리는 태도는 지양해야 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39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