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담론]제주형 지질공원 운영 모델의 확산을 기원한다

[목요담론]제주형 지질공원 운영 모델의 확산을 기원한다
  • 입력 : 2017. 08.17(목) 00:00
  • 이수재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필자는 지질공원과 관련해 많은 현장을 다니면서 이제는 국내 지질공원이 한 단계 더 진화한 것을 느꼈다. 특히 제주도 유네스코 지질공원은 국내에서 8개의 국가지질공원과 7개 지역에서 지질공원을 추진하도록 한 산파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곳으로 인식되고 있다.

올해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과 관련해서 인증을 위한 실사현장에 2개소 참가했는데, 하나는 무등산권 지질공원에 참관자로서, 다른 하나는 인도네시아의 찔레투-팔라부한라투에 현장 실사자로서 참석한 것이었다. 이들 행사에 참석하면서 얻은 경험으로, 필자는 그동안 알고 있던 지질공원에 대한 개념을 전반적으로 더 세련화 할 수 있어서 행운으로 생각한다.

무등산 국가지질공원은 지질, 생태, 역사, 문화적 요소를 잘 구성해 현장 실사자로부터 전반적으로 매우 양호한 평가를 받았다. 무등산 국가지질공원이 매끄럽게 진행된 것은 광주시 지질공원 담당자들의 적극적 준비, 지역 주민의 끈끈한 협조, 지질공원의 품격 향상을 위한 지역 대학의 노력, 대한지질학회의 지원, 환경부와 국가 지질공원 사무국의 행정적 지원 등이 바탕이 됐다.

무등산 국가지질공원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을 받는다면 우리나라는 제주도, 청송 등 총 3곳의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을 보유하게 되어 다수 보유 국가로 진입하게 된다. 국제적으로 3개 이상을 보유하는 국가는 중국(35개소), 스페인(11개소), 이태리(10개소), 일본(8개소), 영국 및 프랑스(각 6개소), 독일 및 그리스(각 5개소) 등 11개 국가뿐이다. 우리나라가 비교적 빠른 시간에 다수의 세계지질공원을 보유할 수 있게 된 것은 일찍이 국가지질공원 제도를 도입해 체계적으로 정착했기 때문이다.

지난 6월에는 국가지질공원을 준비하는 백령도, 대청도 및 소청도 주민이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을 방문하였는데, 주민 간 지질공원에 대한 열띤 토의가 진행되는 것을 보고 이제는 국내 지질공원이 확실히 한 단계 더 성장했다는 것을 느꼈다. '까망고띠'나 '동백동산' 등에서는 해설과 안내를 넘어서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사회적 기업이나 협동조합 등이 지질공원의 운영 모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이러한 것이 지역발전에 실제 도움이 된다는 것을 엄밀히 증명할 수 있다면 제주도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모범 운영지로서 확실히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내년은 제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이 다시 한번 재인증에 대응하는 해이다. 1차 재인증 시에 권고받은 사항을 대비하는 것을 넘어서 이제는 제주형 지질공원 운영 모형을 전파할 시기가 왔다고 생각한다. 제주도에서 모범 운영의 한 예로 수월봉트레일 행사를 꼽을 수 있겠다.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기념해 시작한 이 행사는 매년 발전을 거듭해 이제는 지역축제로 확실히 자리 잡았다. 수월봉트레일 행사는 수없이 점멸하는 행사 중에서 수월봉이 다 풍화되더라도 지속될 것으로 필자는 믿고 있다. 발전을 거듭해 세계인의 축제로 거듭나길 기원한다.

현재 제주도는 세계유산, 생물권보전지역 그리고 람사르 습지 등 다수의 국제지정지역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유네스코 범주 2의 연구 및 훈련 센터를 설립하기 위한 국제기구의 고위자 회의가 있을 예정이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이 중에서 가장 독특하고 모범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는 증거를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수재 한국환경·정책평가원구원 선임연구위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28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